아시아에서 미국의 역할 “독불장군식 정책 안 통해 … 이젠 미국이 변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미, 중국·러시아와 신뢰·안보 구축 조치를
정몽준 한나라 최고위원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일본·중국·인도·러시아 등 경제대국들이 위치한 곳이다. 특히 동북아에는 미국의 최대 교역국이 모여 있다. 그렇다면 미국은 자신의 이익을 키움과 동시에 아시아 지역에 기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첫째, 중국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대선 이후 새 행정부는 현 상태를 뒤집지 말고, 미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겠다고 선언한 중국의 의지를 이용해야 한다.

둘째, 일본·한국·호주 등과 강력한 연대를 유지하면서 다른 주요 국가들, 특히 중국과 전략적 대화를 계속해야 한다.

셋째, 중국·러시아와 신뢰·안보 구축 조치에 착수해야 한다.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고려할 때 차기 행정부는 지난해 봄 이후 부시 행정부가 채택한 접근방식을 그대로 따르는 게 좋을 것이다.

넷째, 미국은 소프트파워의 사용을 확대해야 한다. 현재 소프트파워를 사용하는 데 가장 숙련된 나라는 중국이다.

마지막으로 아시아에서 미국의 존재를 유지하고 더욱 강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모임에 더 자주 참석한다면 이는 세계의 핵심 지역에 미국이 관여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미국 차기 대통령, 아시아와 관계 개선해야
팔레오마배가 위원장

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은 예전만 못하다. 중국·인도·일본의 성장, 그리고 아시아 국가 상호 간의 무역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부시 행정부가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모든 힘을 쏟아 부은 탓도 있다. 두 전쟁을 치르는 데 한 달에 약 120억 달러의 세금이 쓰였다. 2017년까지 총 1조2000억~1조7000억 달러가 들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미국은 변화를 필요로 한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 정부의 리더십 변화가 새 아시아를 만들어 냈듯, 11월 대통령 선거를 통해 새 미국이 탄생하길 희망한다. 새 대통령은 미국의 신뢰도를 복원시켜야 한다. 그것은 전통 우방 관계의 강화, 새 우방 관계의 구축, 그리고 독불장군식 정책 대신 협력과 토론에 의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만약 미국이 계속 아시아에서의 대외 관계를 소홀히 한다면, 세계 지도자로서의 입지는 계속 줄어들 것이다. 한반도의 통일에는 중국이 핵심 역할을 할 것이다. 1972년 마오쩌둥이 닉슨 대통령에게 중국의 문을 열었던 것처럼, 중국이 북한의 개방을 유도하길 희망한다.



중국, 반중동맹에 포위될 걱정 하지 않아
왕지스 베이징대 원장

아시아에서 미국의 역할에 대한 중국의 견해를 네 가지 관점에서 짚어보겠다.

첫째, 중국은 미국을 글로벌 관점에서 보고 있다. 중국의 시각은 미·대만 간 협력 같은 전통적인 안보 문제에서 경제 안정, 에너지 획득, 환경 보호, 기후 변화, 무역 균형, 공중보건, 지적재산권 문제 같은 이슈로 옮겨가고 있다.

둘째, 중국은 반(反)중 동맹에 의해 포위될 것이란 걱정은 하지 않고 있다. 미국이 민주 동맹, 미·일·호주·인도 동맹 등을 제안하며 중국을 고립 혹은 견제하려 하고 있지만, 아시아 국가들은 이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군사 분야에 있어 미·중 사이의 불신을 줄이기 위한 진지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중국의 군사력 강화에 대한 미국과 일본의 우려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마잉주(馬英九) 대만 총통이 집권한 이래 양안 사이엔 눈에 띄게 긴장이 잦아들고 있다.

넷째, 중국의 공식적인 입장과 대중적인 견해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가장 최근 사례가 그루지야 사태에 대한 반응이다. 중국 정부는 조심스럽게 평화적인 해법을 주문했지만, 중국 웹사이트에는 미국 개입에 반대해 러시아를 지지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뤘다.



김정일 정권 붕괴 대비한 동맹 협력 절실
후나바시 아사히 주필


차기 미국 행정부가 부시 때의 긍정적인 유산을 이어나가고 비판적인 평가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해야 한다.

첫째, 중동에 치우쳤던 관심과 시간을 아시아에도 투자해야 한다.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 같은 것은 그 자체로 움직이게 두되, EAS(동아시아 정상회의) 등 모임에는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둘째, 커져 가는 중국의 영향력에 대처하는 측면에서 미·중·일 3각 대화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미·일 동맹은 지금보다 더 강화돼야 한다. 동맹의 목적도 글로벌 테러리즘 대응이 아니라 아시아에서의 새로운 안보 도전에 대처하는 것에 맞춰져야 한다.

넷째, 북한 핵 확산을 막기 위해 포용과 봉쇄 정책을 동시에 펴야 하고, 더불어 김정일 정권 붕괴 이후의 상황에 대처할 방안을 동맹국들과 협력해 마련해야 한다.

강병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