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유출에 30억원 댄 유령회사 노 전 대통령 측근 공장이 주소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의 청와대 기록물 유출 논란과 관련해 여권 핵심 관계자는 10일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이 자료 유출 과정에서 동원한 페이퍼 컴퍼니(유령회사)에 자금을 제공한 회사가 노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청와대가 확인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전날 “노 전 대통령 측이 하드 디스크 원본 유출을 위해 청와대에 들여온 새 ‘e지원 시스템’은 청와대가 의뢰하지 않고, 유령회사가 국내 모 업체에 주문해 제작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여권 관계자는 “시스템을 주문한 (유령)회사는 종로구 내수동 오피스텔에 소재한 디네드사로 확인됐고, 디네드에 돈을 댄 유령회사가 그 뒤에 또 존재하는 것으로 청와대가 확인했다”며 “뒷돈을 댄 회사의 소재지는 노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 운영하는 회사의 공장 단지 내부인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두 유령회사 간엔 30억원가량의 자금 거래가 있었던 것으로 청와대 자체 조사 결과 나타났다”며 “노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 인물이 두 유령회사를 통해 문건 유출 과정에 개입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자료 유출 과정에 두 개의 유령회사가 동원됐고, 또 민간인 신분인 노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 개입한 정황은 국가기록물 유출이 노 전 대통령 측 인사들의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참여에 의해 진행됐음을 드러내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측은 유령회사의 존재 자체에 대해 “근거 없는 일방적 주장”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청와대가 ‘봉하마을로 유출된 게 확실하며, 관련 증거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기존 ‘e지원’ 시스템 내 원본 하드디스크의 행방과 관련해 노 전 대통령 측은 이날 “2월 말 국가기록원에 청와대 기록물 이전작업을 마친 뒤 하드 디스크 원본을 파기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설명자료를 통해 “원본 디스크가 파기됐다는 기록 등 증거가 전혀 없다”며 “원본 디스크를 파기했다면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파기했는지 파기 기록 일체를 증명하라”고 재반박했다.

한편 대통령기록물법상 자료 회수 의무가 있는 정진철 국가기록원장이 12일 봉하마을을 방문해, 유출된 자료의 반환을 재차 촉구하고 조사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이에 앞서 정세균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가 11일 오전 신임 인사차 봉하마을의 노 전 대통령을 예방할 예정이어서 기록물 유출 논란에 대한 노 전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나올지 주목된다. 

서승욱 기자

[관련기사]

▶ "30억 댄 유령회사, 盧 측근 공장이 주소지"
▶ 盧, 준비중인 '민주주의 2.0' 위해 자료 집착?
▶ "전두환 정권이 상왕노릇 하려고 했듯이 盧도…"
▶ 盧측 "하드디스크 원본 폐기" 靑 "증명하라"

[J-HOT]

▶ 盧 "靑, 너무 야비하다…열람권 보장해줘야"
▶ 숨진 윤씨 집안 사정 잘 아는 이웃 청년이…
▶ 남미 오지서 자란 한국소년, 보잉기 제작자로
▶ 휠체어, 색안경, 마스크…마이클 잭슨 '충격적 외출'
▶ 금강산 수학여행 고교생 400여명 집단 피부병
▶ '가수 김성재 사망사건' 실마리 푼 그녀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