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관 평균 18억 … 김은혜 97억 신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청와대 비서관 34명의 재산이 7일 공개됐다. 이들의 평균재산은 17억9677만원이었다. 지난달 발표된 첫 내각 각료 16명의 31억3800만원, 청와대 장·차관급 인사 10명의 평균재산 35억5652만원보다는 적었다.

비서관들의 건물 보유 평균액이 13억4006만원으로 재산평균액의 74%에 달했다. 주택과 상가 보유가 역시 최고의 재테크 수단인 셈이다. 토지보유 평균액은 3775만원, 예금은 4억8044만원으로 집계됐다.

비서관 중에선 김은혜 부대변인의 재산이 97억3155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59억3292만원), 강훈 법무비서관(47억5014만원), 장용석 민정1비서관(41억4914만원), 김강욱 민정2비서관(40억7719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사법고시 출신이 모여 있는 민정수석실 산하 비서관들이 상위권에 많이 포진한 게 특징이다. <표 참조>

반면 노연홍 보건복지비서관(1억8426만원), 김명식 인사비서관(1억8973만원)이 최하위 1·2위였다.

‘재산가 비서관’들의 재산 대부분은 상속과 증여였다. 김은혜 부대변인은 배우자 소유의 강남구 대치동의 D빌딩을 87억9370만원에 신고했다. 배우자가 1990년 사망한 선친에게서 상속받은 것이다. 이렇듯 배우자가 상속으로 취득한 재산이 김 부대변인 전체 신고액의 90%를 넘었다.

2위를 기록한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은 여의도와 강남·서초구에 상가 3채를 신고했다. 이 역시 모두가 조부나 부친에게서 증여·상속받은 아파트를 팔아 구입한 것이었다. 김 비서관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예금이 28억7799만원에 달해 예금액 1위를 기록했다.

청와대 비서관 34명 가운데 20명이 이른바 ‘버블세븐’(강남·서초·송파·목동·분당·평촌·용인) 지역에 본인 또는 가족 명의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명의의 재산 때문에 논란이 된 비서관들도 있었다. 김준경 금융비서관은 24세 된 장녀 명의로 2억2395만원의 예금을, 18세 된 장남 명의로 1억9766만원의 예금을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청와대 관계자를 통해 “자녀들이 큰아버지로부터 각각 1억원씩 증여를 받았고, 나머지는 매달 적금을 불입한 돈과 예금이자 등”이라고 설명했다. 김 비서관의 장녀가 연고가 없는 충북 제천의 임야 다섯 필지(1300만원)를 보유하고 있는 것도 논란이 됐다. 청와대는 “장녀가 1980년대 말∼90년대 초 외조부와 김 비서관에게서 각각 증여받은 자금으로 2005년 취득했고, 일부 누락된 증여세는 최근에 모두 납부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왜 무연고 지역인 이곳에 김 비서관의 장녀가 임야를 구입했는지에 대해 청와대는 상세한 설명이 없었다.

강훈 법무비서관의 경우 20대 초반의 자녀 두 사람 명의로 예금 4억2000여만원을 신고했다. 청와대는 “98년부터 자녀들에게 증여한 것으로, 2007년과 2008년 증여한 부분에 대한 세금은 재산공개 직전인 이달 초 관할 세무서에 납부했다”고 말했다. 증여세를 일부 누락했다가 재산공개를 앞두고 납부한 케이스다.

외제차를 소유하고 있는 청와대 비서관은 김휴종 문화예술비서관(2004년식 BMW525),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배우자 명의 2002년식 BMW325), 김준경 금융비서관(2004년식 렉서스) 등 세 명이었다. 또 비서관들의 절반인 17명이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주식에 투자한 비서관은 김강욱 민정2비서관으로 16억원을 신고했다. 특히 김 비서관 등 7명이 금융주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휴종 비서관은 본인·배우자와 장·차녀 명의로 순금 451g(1172만 상당)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신고했다.

장관과 수석 재산공개 때 한 차례 홍역을 앓았기 때문인지 재산공개 서식의 ‘비고’란에 상세한 해명을 담은 비서관이 많았다. 그동안의 학습 효과를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