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친노코드 김정헌 물러날까 버틸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물러날 것인가, 버틸 것인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노무현 정권에서 임명된 문화예술기관 단체장들의 자진 사퇴를 요구하면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김정헌)의 향배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한 해 1000억원의 예산을 집행하는 예술 분야 최대 지원기구인 데다 김정헌 위원장이 노무현 정권의 전형적 ‘코드 인사’라는 논란이 일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대표적인 친노 인사로 꼽혀 왔다. 김병익 전임 위원장이 물러난 뒤 지난해 8월 실시된 임용심사에서 2등을 했으나 바로 한 달 뒤 위원장으로 발탁됐었다. 유 장관의 12일 발언에 대한 그의 입장을 들으려고 김 위원장과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못했다.

문화부로서도 별다른 ‘인사 카드’는 없는 상황이다. 예술위 위원장 임명권은 장관이 갖고 있으나 지난해 4월 발효된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3년의 임기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예술위 연간 예산 대부분도 문예진흥기금(600억원)과 복권기금(250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돈과 인사권에서 문화부로부터 자유로운 모양새다.

하지만 실무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달라진다. 예술위는 겉으로는 ‘민간 자율기구’이지만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중앙부처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예술위가 추진하는 각종 사업과 지원금 집행에 대해 문화부가 제동을 걸 경우 예술위는 ‘식물 기관’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김 위원장의 입지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일각에선 ‘8월 물갈이론’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올 8월이면 2005년 임명된 예술위 위원 11인의 임기가 만료되기 때문이다. 현재의 ‘장르별 이기주의’에 치우친 예술위 조직을 재편하면서 김 위원장의 교체 또한 자연스럽게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다. 예술위 관계자는 “지나치게 파워게임 양상으로 가면 큰 상처가 남는다. 타협안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민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