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놀이로 흥미 끄니 "엄마, 영어공부 재밌어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1면

영어 교육 전문가 홍현주 교수(左)와 마선미씨는 "엄마의 기대 수준을 낮춰야 아이들이 영어 스트레스에 시달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사진=안윤수 기자]

영어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면서 학생과 학부모 고민이 커지고 있다. 영어 스트레스로 영어 공부를 거부하는 아이도 늘고 있다. 『부모를 위한 초등 6년 영어 관리법』의 저자 홍현주 경성대 교수와 최근 『엄마표 영어놀이 100』을 낸 영어교육 전문가 마선미씨에게 사례별로 영어 스트레스 해소법을 들어봤다.

1 김모(37)씨는 아들(10)에게 직접 영어를 가르치다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학원을 보냈다. 금세 싫증을 내 학원을 자주 옮겼다. 여러 방법으로 영어를 가르쳤는데 쉬운 영어책도 읽지 못한다.

-아이의 학습 수준·성격·성향 등에 맞는 공부법을 찾아 적어도 1년 이상 지속해야 효과를 얻는다. 엄마가 기대 수준을 낮추고 아이와 함께 학습 목표부터 다시 설정해야 한다.

아이의 수준보다 한 단계 낮은 영어 교재를 골라 성취감을 먼저 맛보게 한 뒤 점점 수준을 높여간다. 또 영어책을 읽지 못하는 것은 대개 어휘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쉬운 영어 스토리북을 반복해 읽혀 본다. 스토리북은 그림으로 줄거리를 짐작할 수 있고, 한 페이지에 모르는 단어가 3~4개 포함된 게 적합하다.

2 일반 유치원에 다니던 김모(8)양은 일곱 살에 영어 유치원으로 옮겼다. 옮긴 지 6개월이 지나자 가기 싫다고 투정을 부린다. 영어만 보면 신경질을 내고 영어 비디오를 틀면 귀를 막아버린다.

-과도한 영어 스트레스 때문에 영어를 거부하는 경우다. 대개 소심하고 자존심이 센 아이들에게서 나타난다. 엄마가 한발 물러서 영어학습을 일단 중단한다. 아이 스스로 영어책에 흥미를 보일 때까지 기다린다. 그러는 동안 노래·만화·게임 등으로 영어에 재미를 붙여준다. “나비가 영어로 뭐였더라?” 하면서 아이가 잘 아는 영어를 모르는 척 물어본다. 아이가 “버터플라이”라고 답하면 “어머, 너 어떻게 알았어?”라는 식으로 칭찬해 준다. 이렇게 엄마가 모르는 것을 가르쳐 주면서 아이는 자신감을 갖게 된다.

3 초등학교 2학년 때 영어 공부를 시작한 이모(11)군은 단기간에 영어 실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원어민이 수업하는 학원을 다녔다. 같은 반 아이들보다 영어를 못한다는 열등감에 말문을 닫는다.

결코 영어 교육을 늦게 시작한 게 아니다. 초등학생들은 모국어를 이미 알고 인지능력도 발달하는 과정이므로 유아기에 1~2년 배운 영어 기초를 한두 달이면 익힐 수 있다. 이런 아이는 영어를 공부가 아닌 생활과 놀이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그러자면 엄마가 생활영어를 익혀 대화를 시도해 보는 게 좋다. 놀이를 하듯 생활 속 단어를 중심으로 단어카드를 만들어 보는 것도 방법이다. 단기간에 체계적인 영어실력을 쌓기 위해 원어민 학원을 택한 것은 나쁘지 않다. 하지만 개인별 맞춤교육이 가능한 동네 학원이나 공부방, 과외가 더 효과적이다.

4 영어 학원을 5년 다닌 박모(12)군은 학원 시험을 보면 늘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하지만 국내외 영어인증시험을 보면 낮은 점수를 받아 스트레스를 받는다.

 학원에서 문제 풀이를 반복하고 암기 위주로 학습해 시험 점수는 높지만 실제 영어 실력은 낮은 경우다. 정해진 패턴대로 습관적으로 답 찾는 요령을 익힌 결과다. 이럴 땐 JET나 PELT 같은 영어인증시험을 보게 해 아이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아이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준다. 예컨대 쓰기 실력이 부족하면 영어책에서 3~4줄의 문장을 3분간 외우게 한 뒤 기억나는 대로 적어보게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학원에만 의존하기보다 복습·예습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한다.

글=민선화 기자 mshwa@joongang.co.kr, 사진=안윤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