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 충격 … 12년 만에 공중분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 닫게 된 해양수산부의 분위기는 침통했다. 20일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고개를 푹 숙인 채 청사 복도를 지나고 있다. [사진=김태성 기자]

설립된 지 12년 만에 문을 닫게 된 해양수산부는 충격에 빠졌다. 해양부 관계자는 20일 “어젯밤 인수위 쪽에서 정부조직 개편 협상이 타결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와 불길한 생각이 들었다”며 “지금 내부 분위기는 한마디로 침통하고 어수선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에서 해양부 폐지안이 나온 뒤 장관까지 나서 “해양부 해체는 각국의 해양정책을 확장하는 국제 흐름에 뒤떨어진다”고 호소하고 시민단체들까지 가세했지만 끝내 무위로 돌아갔다.

해양부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공약으로 1996년 신설됐다. 차관급 ‘청’ 조직인 해운항만청과 수산청 등이 통합된 ‘정치적 탄생’이었다. 해양부는 그 뒤 정부조직 개편 때마다 폐지 1순위로 꼽혔지만 정치권의 담판 과정에서 살아남곤 했다. 해양부 폐지로 해양정책·해양환경 부문·항만·물류 부문은 국토해양부로, 수산 부문은 농림수산부로 각각 넘어가게 된다. 해양부 관계자는 “인위적으로 융합된 조직은 결국 쪼개질 것”이라며 5년 뒤를 기약했다.

반면 살아남는 것으로 확정된 통일부 직원들의 얼굴에는 희색이 가득했다. 한 간부는 “지난 대선 이후 두 달 동안 몇 차례나 생(生)과 사(死)를 오가 가슴을 졸여 왔다”며 “긴 터널을 빠져나온 기분”이라고 말했다. 북한과의 실속 없는 고비용 협상이나 대북 정책 수립 과정에서 통일부에 쏟아진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는 반응도 나왔다.

여성부는 일단 환영하면서도 예산의 90%를 차지하는 가족·보육 업무가 보건복지부로 이관된다는 소식에 낙담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민경세 정책홍보팀장은 “여성부에서 핵심 사업으로 육성했는데 다시 복지부로 넘어가니 안타깝다”고 말했다. 

글=예영준·이상렬 기자 , 사진=김태성 기자

[J-HOT]

▶ 이재오, MB에 "형님, 여성부 받으시죠"

▶ 여성·통일부 살아났지만…'살아도 산게 아니다'

▶ [충청 총선후보 선호도] 민주당12:한나라6:선진당6강

▶ 12년 만에 공중분해 충격에 휩싸인 해양부

▶ "先양보…솔로몬 지혜"vs."불도저식…얻은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