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중국에 밀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지난해 10월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3에서 A2로 한 계단 올렸다. 반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2002년 3월 A3로 올라선 뒤 2년 가까이 제자리 걸음을 해 중국보다 뒤처졌다.

또 다른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지난 18일 중국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한국의 신용등급(A-)보다 한 단계 처지지만 S&P는 중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Positive)'으로 평가해 앞으로 더 올릴 가능성을 열어놨다.

중국의 신용등급이 한국을 앞서거나 턱밑까지 치고 올라온 것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신용평가기관별로 평가기준이 달라 결과가 들쭉날쭉하면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25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무디스가 부여한 한국의 신용등급 A3는 중국은 물론이고 폴란드(A2).체코(A1).헝가리(A1)보다 낮다.

무디스가 중국의 신용등급을 높인 것은 외환보유액이 지난해 말 현재 4030억달러로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아지는 등 경제가 빠르게 성장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경부 관계자는 "무디스는 중국의 경제체제가 불안정하고, 국영기업의 부실화와 금융기관의 과다한 부실채권 등을 비중있게 고려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폴란드.체코.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들의 신용등급이 높은 것도 이들 국가의 경제상황보다는 유럽연합(EU)에 가입했다는 점이 더 높이 평가됐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국제금융센터 김창록 소장은 "평가기관들이 계량화한 지표에 대한 평가와 함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는 질적인 평가를 병행하다보니 등급에 차이가 나 객관성 시비가 일어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무디스는 한국을 평가할 때 북핵 문제를 심각한 위기상황으로 간주한다.

반면 S&P나 피치 등은 북핵 문제를 무디스보다는 중요하지 않게 본다는 것.

최종구 재경부 국제금융과장은 "신용평가기관의 객관성이 떨어지더라도 시장에서는 이들 기관의 평가결과를 비중있게 고려하기 때문에 우리는 북핵 문제나 정치적 불안정이 해소되지 않는 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