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난 심각-성수대교붕괴 후유증.渡江費올라 건가재값 급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서울은평구불광동에 단독주택을 짓고 있는 柳모씨는 철근을 구입하러 갔다가 대리점직원과 승강이를 벌였다.강남에 사는 친구는 얼마전 t당 28만8천원에 샀다고 들었는데 대리점직원이 그보다4천원이나 비싼 29만2천원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柳씨는 한강다리를 건너는게 어려워지다보니 한강이북지역에서는 값을 올려받을 수밖에 없다는 대리점직원의 설명을 듣고나서야 납득을 했지만 성수대교여파가 이런데까지 파고들었다는 사실에 놀랐다. 〈관계기사 29面〉 성수대교 붕괴여파에다 지난 6~7일부터 과적차량 특별단속과 한강다리 전면보수까지 겹치는 바람에 이른바 한강다리 「통행세」가 철근값에 고스란히 반영된 셈이었다.
이처럼 물류(物流)비상이 최악으로 치닫자 모래값도 전반적으로15~20%가 오르는등 수송비부담을 제품가격에 얹히려는 사례가심심찮게 고개를 들고 있다.
여기에다 화물차운송조합은 강북으로 가는 화물에 대해 운임의 30%를 할증료로 받을 움직임이어서 한강을 사이에 두고 제품값이 차등화되는 현상이 가속화할 조짐이다.
교통대란(大亂)의 후유증이 곳곳에서 터져나오면서 물가압박이 커지고 경제에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대한상공회의소 민중기(閔仲基)이사는 『과적단속과 다리통행제한이 강화되며 화물차량 투입이 늘어나고 우회수송이 불가피해지면서기업들의 물류비부담은 종전보다 30~50%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부작용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과적단속이 강화되자 중장비처럼 덩치가 큰 특수화물이나 컨테이너화물은 한꺼번에 수송할 엄두를 내지못해 여러 부분으로 분산 수송하느라 비상이다.
부산항등 전국 주요항만에는 아예 보세창고나 야적장에 거대화물을 쌓아둔채 한숨만 짓는 기업들도 적지 않다.
골재업체들은 레미콘회사들에 입방m당 9천~1만원선인 모래값을15~20% 올려받겠다고 이미 통보해 시행에 들어갔고 화물차 수송비의 일괄인상은 일단교통부의 개입으로 보류됐으나 내년초에는인상추진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어서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 당분간 운송업자가 화주(貨主)와 협의를 거쳐 건별로만 30%이내에서 올리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수송비부담을 감안하면 일괄인상은 시간문제라는 것이 업계관계자들의 얘기다.
물류난은 철강.시멘트.석유류등 중량이 많은 화물이 심하고 컨테이너화물은 과적단속과 통행제한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컨테이너의 경우 자체 무게만도 18t에 달하는데다 한강다리 통행에 제한을 받는 40t이상 화물수송이 70~80%를 차지하다보니 여간 어려움을 겪고 있는게 아니다.
그러다보니 컨테이너화물을 제때에 선적하느라 초비상이 걸릴수밖에 없고 수출용 원자재와 시설재수입이 차질을 빚을 우려마저 커지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수출용 거대화물은 여러대의 트럭에 나눠 수송한뒤 대형컨테이너에 모아 선적하고 있다』면서 『수입화물 컨테이너도 2~3개로 나눠 수송해오는등 비상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1백t이상인 발전설비등 특수장비는 아예 수송을 포기한채 보세창고에 보관하거나 야적장에 방치하고 있어 그만큼 창고.보관비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크레인.굴착장비등 중장비업체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총중량이40t이상인 장비들이 태반인데다 크레인의 경우 80t짜리를 분해해도 몸체무게가 40t에 육박하다보니 다리통행을 포기하다시피했다. 지난 11월이전에 서울 강북지역에서 공사를 하다가 미처강남으로 이동하지 못해 발이 묶여 있는 크레인만도 30여대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다보니 건설현장에서 장비는 물론이고 레미콘.골재등 건자재를 제때에 공급받지 못해 공사진척에차질이 생기는가하면 공사비의 상승요인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도로보수등 각종 공사가 갑자기 늘어나는 바람에 시멘트등건자재수요가 폭주해 물량수송의 어려움을 부채질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종전에는 중량의 2~3배에 달하는 화물을 싣고다니던 화물차들이 과적단속으로 정량만 싣고 다닐 수밖에 없는데다 70~1백㎞를 우회하는 상황이 되자 수송비부담을 끌어올리는 부작용도 생겨나고 있다.
〈李鍾台.黃盛根.宋明錫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