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 전남 지방대 혁신사업 '샅바싸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방대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 특화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 중인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지방대 혁신사업)을 놓고 사업권역에 대한 논란이 거세다.

교육부는 지방대 혁신사업을 위해 서울.인천.경기를 제외한 전국 13개 권역(광역자치단체 기준) 대학에 올해 2천2백억원을 포함해 2008년까지 모두 1조4천2백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부 측은 학교별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아 지역단위협의체(지역혁신협의회) 검토를 거쳐 6월말께 지역별로 사업단을 선정하기로 했다.

또 광주.전남,대구.경북 등과 같이 초(超)광역으로 사업권역을 신청할 경우 예산 지원 때 10%를 더 배정해 준다고 통보했다.

이와 관련,목포대.순천대.동신대 등 전남지역 소재 12곳의 4년제 대학 기획실(처)장들은 11일 공동선언문을 통해 "광주와 전남의 대학별 여건과 규모를 감안,지방대 혁신사업 권역을 광주와 전남을 분리해 별도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사업권역이 광주와 전남으로 통합될 경우 인적자원과 시설 면에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높은 광주권 대학 위주로 사업이 선정될 가능성이 크며,이로 인해 당초 취지와 달리 지역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광주와 전남 자치단체의 자립화 방안과 전략산업이 서로 달라 사업권역을 분리해 추진하는 게 국가균형발전차원에서 타당하다"고 덧붙였다.

김웅배 목포대 총장 등은 이날 박태영 전남도지사를 방문,선언문을 전달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지역역량 강화를 위해 자치단체와 비정부기구(NGO).언론사.대학.기업체 대표가 모여 12일 출범하는 광주.전남지역 혁신협의회는 광주와 전남을 통합해 구성됐다.

광주지역 대학들은 전남지역 대학들과 달리 지방대 혁신사업도 지역혁신협의회처럼 광주.전남이 통합해 사업단을 구성해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남대 정성창 기획부처장은 "다수의 대학 교수들이 분야별로 팀을 이뤄 사업단을 구성,특정 지역이나 학교에 치우져 지방대 혁신사업이 꾸려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광주.전남이 한 뿌리로 지역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통합해 사업단을 짜야한다"고 말했다.

지방대 혁신사업은 연도별 지원 규모에 따라 대형(30억~50억원).중형(10억~30억원).소형(10억원 이하)사업으로 나뉘며 중심대학과 협력대학.광역지자체.산업체.시민단체 등이 함께 사업단을 꾸리는데 대학별로 7개 사업까지 신청할 수 있다.

광주=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