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혈 리더십' 갖춘 '프로정부'돼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번 대선을 통해 구성될 다음 정부는 '아마추어 정부'에서 벗어나 '프로 정부'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선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 복합적이고 변환적으로 판단하는 '혼혈(混血)리더십'을 발휘하는 이들이 새 정부에 많이 참여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29일 서울 전경련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차기 정부의 국가전략 세미나'에서 고려대 김병국(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최근 10년간 국정을 각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지 않은 채 바로 나라살림을 맡은 이른바 '순종(純種)리더십'이 주도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수 대 진보, 성장 대 분배, 동맹 대 자주 등 시대착오적인 이분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 생존전략을 세우기 위해선 '생각의 혼혈인'이 대거 참여한 '프로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가 제시한 바람직한 혼혈 참모의 예는 미국의 경우 학계와 민간기구, 행정부를 수시로 오간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과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이다.

이 세미나는 대통령 선거를 50일 앞두고 이번 선거의 시대정신을 모색하고 국가 발전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중앙일보와 동아시아연구원(EAI)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리서치가 주관했다.

이 자리에서 김 교수가 설명한 프로 정부는 "다양한 창의성을 끌어내는 비전을 제시하고, 국민 공감대를 형성해 내는 설득력을 갖고 있으며, 반대세력까지 끌어안는 포용력과 구상을 실현해 내는 집행 능력을 복합적으로 갖춘 정부"다. 그는 이 기준에 따르면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아마추어 정부'라고 분류했다. 김 교수는 "대북 정책만 봐도 지난 10년간의 두 정부는 '경제 지원을 통한 개혁.개방'이라는 서독식 신화에만 집착했다"며 "복합변환적이지 못한 이 같은 전략을 고집하다 한국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미아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서울대 하영선(외교학과) 교수는 '글로벌 변환 경쟁과 한국의 생존번영 전략-보수와 진보를 넘어서'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복합 변환의 시대'에는 국가도 늑대거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늑대거미는 평면(1차원)으로 거미줄을 치고 먹잇감을 기다리는 여느 거미와 달리 바닥과 양옆으로 다중(3차원) 그물을 친다. 하 교수는 이런 늑대거미의 습성에 대해 "발상의 변환을 통해 복합적 생존전략을 개발해 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개념을 한.미동맹에 적용해 "미국과 구태의연한 냉전시대적 동맹만 주장하거나 반대로 탈냉전 동맹을 주장하는 단세포적 생각만 하고 있을 게 아니라 (한.미.중.일의 관계 속에서) 네트워크적인 동맹을 짜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밖에 세미나에는 임천순(세종대), 이내영(고려대), 이재열(서울대), 강원택(숭실대), 장훈(중앙대) 교수가 강연자로 참석했다.

남궁욱.이종찬 기자

◆'혼혈 리더십'=고려대 김병국 교수가 주장한 개념. 다양한 분야의 경력을 통해 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국정 운영 방식을 일컫는다. 김교수는 이런 리더십의 바람직한 예로 미국의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과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을 꼽았다. 올브라이트는 조지타운대 교수, 유엔 대사 등을 거쳐 장관에 올랐다. 서머스는 하버드대 교수, 세계은행 이코노미스트, 재무부 차관을 거친 뒤 장관이 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