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기업 시대」는 끝나는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세계경제를 주름잡고 있는 굴지의 거대기업들이 경영 몸살을 앓고 있어 이제는 대기업의 시대가 끝나고 있는 것이 아니냐하는 우려까지 대두하고 있다. 그동안 거대기업은 일류기업의 동의어쯤으로 인식됐었다. 또 야망 있는 기업들의 한결 같은 목표도 거대기업 대열에 동참하는 것이었다.
국제경제 환경은 오히려 지금까지 대기업이 열망하던 방향에 맞춰 전개되고 있다는 분석은 거대기업의 붕괴조짐과 함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세계는 현재 잇따라 신기술이 개발, 보급되고 무역장벽도 낮춰지고있다. 자금조달 시장도 열리고 소비자의 취향도 표준화되는 추세다. 이 같은 추세는 조만간 극소수의 거대 기업군이 국제시장을 독과점해 버릴 것이라는 예측마저 낳았었다.
그러나 거대기업의 표본이라 할 IBM·제너럴모터스·필립스 등 미국 및 네덜란드의 거대기업들은 파산지경으로 몰려 문책성 경영진 교체, 유례없는 감원 등 제몸 추스르기도 바쁜 형편이다. 일본의 마쓰시타, 독일의 다이믈러벤츠 등 대기업들도 조직재편·감량경영에 나서는 등 위기극복에 안간힘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의 경제전문주간 이코노미스트지 최근호는『1993년부터는 대라는 말이 더 이상 성공하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없다. 머지않아 오히려 실패했다는 의미가 될지도 모른다』고 단언했다.
이 같은 현상은 대기업이중소기업을 경쟁대열에서 따돌릴 수 있었던 최대의 무기, 즉「규모의 경제」가 빛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대량 생산·유통체계를 통한 상품당 비용절감효과로 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이 논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오히려 거추장스런 것이 되고 말았다. 구성원들은 거대한 조직내의 톱니바퀴에 파묻혀 성취동기를 상실하고 관료화에 따른 조직의 경직성이 두드러지는 등 비대한 조직의 비용이 전에 없는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요즘에는 거대기업이 오히려 중소기업을 닮으려고 애쓰는 양상마저 보인다. 조직을 사업단위별로 독립시켜 운영하는 방식의 도입이 그 한 예다. 최근 라이벌 대기업들간에 기술개발이나 시장개척을 위한 공동투자, 기술협력 계약이 급증하고 있는 것도 스스로의 몸집 비대화를 피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회사의 인수나 합병 등 조직 비대화 현상은 거의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만은 거대 기업화가 여전히 열망의 대상인 것 같다. 대기업반열에만 오르면 어떤 보험보다 든든한 보호막 속에 안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이 위기에 몰릴 때마다 연쇄도산, 대규모 실업, 국가의 신용 추락 등을 막아야 한다는 구제 논리가 나오고 국가 차원의 구제책이 뒤따르는 것이 공식화되어 왔다. 이는 경제논리에 따라 생존이 결정되어야 할 기업이 비경제적인 요인에 의해 버텨 가는 기현상이다. 세계적 기업들이 공룡처럼 생존 경쟁에서 밀려나는 변화된 환경에서 우리만 예외일 수는 없을 것이다.【이기원<국제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