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개통」|37가루에 시범서비스 한국통신과 5개 업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전화선을 이용해 도둑·화재·가스누출 등을 감지, 해당 경찰서·소방서 등에 자동통지하며 자판기를 자동관리 할 수 있는 원격 안전관리시스템이 11일 개통됐다.
한국통신은 한국안전 시스템(주) 등 5개 업체와 공동으로 이 시스템을 구축, 서울의 영동과 목동전화국관할 37가구에 최근 시범서비스를 개시했다.
이 시스템은 각각의 센서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 결합장치로 전화선과 연결되는 것. 이때 센서가 감지한 신호는 곧 이용자가 가입한 해당 안전관리업체와 전화국의 메인 컴퓨터에 입력돼 내용에 따라 경찰서·소방서·용역경비업체 등에 설치된 컴퓨터화면에 자동 통보된다. 컴퓨터 화면에는 이용자의 주소와 약도까지 표기돼 상황에 따라 즉시 출동, 사고에 대처하거나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모든 신호는 주파수확산 통신방석을 이용함으로써 전화통화중이라도 관계없이 양방향통신이 이뤄지며 암호신호로 전송, 다른 사람이 해독할 수 없다는 것.
개인주택·아파트에서 방범·화재·가스누출감지 등 3종의 센서와 결합장치에 대한 설치 비는 가구 당 약40만원 정도. 그러나 센서는 성능과 제조회사에 따라 값이 달라 1만원에서11만원, 외국산은 1백 만원 짜리도 시판되고 있다.
매월 관리비는 8월까지의 시범 서비스기간 중 무료로 운용된다. 각 업체는 앞으로 설치규모에 따라 관리비를 ▲개인주택 4만∼5만원 ▲귀금속가게 10만원이상 ▲은행 20만원이상 ▲특수건물 1백 만원 이상 부과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자판기 관리시스템은 자판기내에 설치된 센서가 해당 물품의 수량·거스름돈·내부온도 등을 파악, 해당업체와 전화국 메인 컴퓨터를 통해 가입자에게 자동 통보해 준다.
한국통신은 이 서비스를 올해 내 대구·대전의 일부지역으로 확대시킨 다음 94년 부산·광주·인천·전주·제주·춘천·마산·포항 등 11개 도시로 확대 실시한다. 이어 95년부터 전국의 중소도시까지, 96년부터는 국내 모든 지역으로 확대 서비스할 계획이다. <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