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별 1호」로 "체면치레"-올해의 과학·기술계를 돌아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금년은 『과학기술정책 전반에 걸쳐 「혼과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과학기술드라이브 정책의 범국가적 추진으로 과학기술의 선진7개국 진입 기틀을 마련한다』는 과기처의 정책목표에서 보듯 ▲핵심선도 기술개발과제의 선정과 착수 ▲기술혁신 기반구축 ▲국제협력의 다변화 ▲과학기술투자확대에 중점을 둔 한해였다.
과학위성 「우리별 1호」가 과학한국의 체면치레를 했고 대덕 연구단지가 착공 20년만에 준공됐으며 각 정당의 과학기술부문 대선 공약에 과학기술계의 관심이 모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최대 현안 과제의 하나인 방사성 폐기물관리부지의 선정이 정치권의 일정에 밀려 또 다시 해를 넘겨야했고 「과학기술혁신 특별조치법」의 입법화. 남북과학기술교류 등 한민족공동체 형성구축, 지식산업단지의 조성(부지매입), 과학언론상의 시행 등 여러 가지 약속도 내년으로 이월됐다.
또 안정을 찾아가던 연구소가 연구기관장의 판공비문제로 또 다시 구설수에 휘말려야 했고 사상 유례가 없는 과기처 소속 1급 공무원의 직권면직과 연구기관장의 직위해제를 둘러싼 법정싸움으로 과기처의 권위가 실추된 한해였다고도 할 수 있다.
◇G7프로젝트 착수-지난해부터 준비해 온 핵심선도기술개발과제인 G7프로젝트 11개 부문과 투자계획이 확정됐다. 이 프로젝트는 올해부터 2001년까지 정부에서 1조4천·7백억원, 정부투자 기관에서 5천9백억원, 민간기업이 1조6천4백억원 등 총 3조7천억원을 투입. 약 1백80개 과제를 수행하는 것.
이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선진 각국의 기술력을 과감하게 활용하고 연구개발비의 안정적 지원을 위한 계속비제도의 도입도 검토되고 있다. 미국·일본·중국과의 국제공동연구협약이 연내에 이뤄지며 한미과학기술포럼도 내년 1월 중순 미국에서 열린다.
◇대덕 연구단지 준공-「과학기술문화도시」라는 기치아래 73년12월에 착공된 대덕 연구단지가 지난달27일 조성 준공식을 가짐으로써 2조6천억원이 투입된 20년간의 대역사가 마무리됐다.
전체규모는 서울 여의도의 3배가 좀 넘는 8백34만평으로 자연녹지를 제외한 4백80만평이 조성돼 15개 출연연구소 등 33개 기관이 입주해 있으며 95년까지는 66개 기관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국제협력의 다변화=89년의 헝가리, 90년의 러시아에 이어 올 9월에는 중국과도 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 지난 1월에 재 서명한 미국을 포함해 협정국은 모두 23개국으로 늘어났다.
KISF(한국과학기술연구원)안에 「한중 과기 협력센터」도 설치됐으며 내년부터는 38개 공동연구과제가 착수되고 과학자의 교류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러시아와의 협력도 몇 개 분야에서 가시화 된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으며 6월의 양국 과기
장관회담에서는 추진중인 48개 과제 외에 26개 과제가 추가됐고 5월에는 KIST의 「한-러 협력센터」모스크바 사무소도 문을 열었다.
이밖에 11월에는 EC와도 과기협력 약정이 체결돼 정보기술·신 소재 등 FC가 추진하고 있는 대형 연구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다.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 확정-이 계획은 올해부터2001년까지 약 2조원의 연구개발비를 들여 34개 과제를 중점 연구하는 것으로 미래형 핵연료. 차세대 원자로 등이 포함돼 있다.
한편 방사성폐기물 관리부지확보문제가 자원지역 접수,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용역이 끝난지 1년이 넘도록 아무런 진전도 보지 못하고 있어 아쉬움을 더해 주었다. <신종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