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푸는역시] 남한산성·삼전도·최명길의 공통점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문항2] 00방송국의 특집 '임진왜란 그 이후'를 제작하려는 계획안이다. (가)시기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4급>

①특파원 보고-남한산성을 가다

②공익 광고-북벌 운동에 적극 동참하자

③동행 취재-이종무 장군과 함께 간 전쟁터

④긴급 좌담회-삼전도의 굴욕, 어떻게 볼 것인가?

⑤특집 인터뷰-혼란한 정국을 수습하려고 노력한 최명길

[정답 및 해설]

1-①.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1878~1938)의 주요 업적을 묻는 문제다. 도산은 평양에 대성학교를 설립하고 각종 언론 활동 등을 통해 민족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데 특히 힘을 기울였다. 1907년 양기탁.신채호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했고, 신민회 해체 후 1913년 흥사단을 조직했다. 윤봉길 의사는 1932년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왕 생일기념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 상하이파견대장이 사망했다. 서상돈 선생은 1907년 대구에서 국채보상기성회를 조직, 일본에 진 빚을 갚자는 국채보상운동을 벌였다. 민영환 선생은 1905년 일본에 의해 강제로 체결된 을사조약에 반대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③. 병자호란(1636년)과 관련된 내용을 묻는 문제다. 청나라군이 침입하자 당시 임금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했다가, 결국 한강변 삼전도에서 오랑캐라고 무시했던 청나라 왕에게 절을 하는 굴욕을 당한다. 최명길과 김상헌 등 신하들은 청나라에 대한 대응책을 놓고 주화파와 주전파로 나뉘기도 했다. 이종무(1360.공민왕9~1425.세종7)는 조선 전기의 장군이다. 1419년 전함 227척, 군량 65일분, 군졸 1만7285명을 거느리고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공략해 대승을 거두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