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불 유지 입장 불변 어기면 제재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신일(사진) 부총리는 22일 "3불 유지라는 입장엔 변함이 없으며, 이를 어기면 제재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김광조 차관보를 통해서다. 사립대 총장들이 3불 폐지를 아무리 요구해도 재고의 여지가 없다는 의미다.

김 부총리는 최근 들어 부쩍 3불정책과 관련된 발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달 초 한 영자신문과의 인터뷰에서 "(3불정책이) 장기적으로는 언젠가 풀리게 될 것이지만…"이라며 말미를 뒀다. "나는 본고사 반대론자가 아니라 학교 교육 정상화론자"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주요 사립대가 2008학년도에 수능 위주로 학생을 선발하고, 서울대 장호완 교수가 21일 3불정책을 암초에 비유한 이후 태도가 바뀌었다.

김 부총리는 21일 노무현 대통령에게 업무 보고를 하기 전부터 "일부 사립대가 무슨 생각으로 그러느냐"며 불만을 터뜨렸다고 주변 사람들은 전했다. 대학들이 정권 말기에 들어서면서 교육부를 흔들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이 있는 것이다.

그는 이날 교육부 홈페이지 등에 띄운 국민에게 보내는 서한문에서 일부 대학을 지목해 "심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일부 대학이 지난해 국민과 약속했던 것(내신 50% 이상 반영)을 어겼다"는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김 부총리가 사립대 문제에 관해 과거보다 훨씬 강경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지난해 9월 입각 직전만 해도 대학 자율화 옹호론자였다. "초.중등 교육은 시.도교육청에 맡기고, 대학은 민.관이 참여하는 고등교육위원회에 넘겨 교육부의 기능을 덜어야 한다"는 게 소신이었다.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시절엔 3불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반대한 적은 없지만 대학 자율화에 대해서는 다른 학자들보다 확고한 신념이 있었다. 그 결과 2월엔 실.국장들에게 "대학에 자율권을 줬다고 하나 대학들은 규제가 심하다고 아우성이지 않느냐. 실상을 조사해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이처럼 입각 후 소신이나 입장이 달라지는 것은 김 부총리만의 일이 아니다. "특목고와 자립형 사립고를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던 김진표 전 부총리가 "특목고 가면 입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코드 맞추기'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