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열려라!논술] 교과서에나타난실마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교과서로 '교과서 논쟁'에 다가가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근대적 시민을 길러내기 위해 학교 교육을 시작한 근대와 현재의 상황을 견줘 보면 교과서에 담긴 의미를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근.현대사'(두산)의 '근대 사회의 전개' 단원을 보면 학교 교육이 어떻게 시작됐는지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기원은 근대화가 시작된 18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의 교육 목표는 외세 침략에 대항할 힘을 기르는 것이었다. 서구식 학교를 설립하고 국비로 해외 유학생을 파견하기도 했다. 서양의 근대적 교육 방식을 적극 받아들임으로써 자주 국가로 발돋움하려고 한 것이다.

'세계사'교과서(지학사.사진)는 '유럽 근대 사회의 성장과 확대' 단원을 통해 근대 사회의 면면을 설명한다. 자본주의의 확대로 성장한 시민 계급에게 애국심과 민족정신을 갖도록 시티즌십을 교육한 시대 상황을 유추할 수 있다. 학교를 통해 국가가 원하는 바람직한 시민상을 길러내려 했다는 말이다.

'국사'교과서(교육인적자원부)의 '근현대사 흐름' 단원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학교 교육의 파행을 살필 수 있다.

광복 이후 홍익인간이 교육 이념으로 채택됐지만 이승만 정부는 멸공 안보 의식을, 박정희 정부는 반공과 경제 개발을 집중적으로 교육했다. 정권을 지탱하는 도구로 학교 교육을 악용한 셈이다.

'시민윤리'(교육인적자원부)의 '국가발전과 지구 공동체' 단원은 21세기 학교 교육과 교과서에 반영돼야 할 바람직한 덕목을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국토 통일을 넘어서는 진정한 의미의 사회.문화적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통 계승은 물론 이념과 사상, 제도와 생활양식 등이 통합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