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소각장 11곳 건립|서울 99년까지 2조원 투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92년부터 99년까지 서울시내 11개 지역에 대형 쓰레기소각장과 열병합발전소가 단계적으로 건립된다. 이에 따라 2000년부터는 서울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전량이 소각 처리된다.
서울시는 9일 지금까지 매립에만 의존해왔던 쓰레기처리방식을 소각 방식으로 대폭 전환, 99년까지 총 2조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11개 대형 소각장을 건설하는 것을 골자로 한 「서울시 쓰레기처리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서울시의 이같은 계획수립은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이 폐쇄되는 내년하반기부터 이용할 김포해안 매립장 사용연한이 25년에 불과한데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반대 등으로 혐오시설인 쓰레기 매립장 부지 확보가 거의 불가능해 쓰레기처리를 더 이상 매립에 의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국·독일·일본 등 선진국은 80년대부터 이같은 쓰레기소각방식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서울지역 22개 구중 소각장건립대상지역은 양천·노원·마포·서초·강동·도봉·은평·강남·강서·구로·관악 등 11개 구로 2개 구가 1개 소각장을 공동 사용하게 된다.
서울시는 이 가운데 목동·노원 소각장은 목동아파트단지·상계동772 일대에 부지를 확보, 내년 초 착공해 94년말 완공시키고 나머지 9개 소각장은 99년까지 단계적으로 건설키로 했다. <표>
시는 또 쓰레기 소각에 따른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최첨단 공해방지시설인 ▲유해가스 흡수 탑 ▲질소 산화물제거촉매 탑 ▲중금속제거용 세정 탑 ▲분진처리용 전기집진기 등을 함께 설치할 계획이다.
소각대상쓰레기는 연탄재와 병·고철류 등 재활용품을 제외한 쓰레기로 타고남은 찌꺼기는 고형화 처리를 거쳐 보도블록 등 건자재로 재생산하거나 해안 매립장에 위생매립하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병합발전소로 연결해 발전 또는 인근지역에 온수 및 난방공급용으로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2조원에 달하는 사업비 확보 방안이 불투명한데다 완벽한 공해방지시설을 갖추지 않을 경우 쓰레기소각에 따른 환경오염이 가중되고 집단민원을 불러일으킬 가능성도 큰 것으로 보여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