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돌 맞은 금강산 관광…앞길 순탄치 않을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금강산 관광사업이 18일로 만 5주년을 맞았다. 남한 승객 8백82명을 태운 금강호가 처음으로 북한 장전항에 도착해 분단 장벽을 허문 이래 그동안 56만여명이 해로.육로를 통해 금강산을 다녀오면서 이 사업은 남북 교류의 대명사가 됐다.

지난해 6월에는 서해에서 남북 해군간 무력충돌이 있었음에도 동해에선 관광선이 오가면서 금강산 관광은 남북간 긴장을 완화하는 완충 역할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지난 5년 동안 남북 장관급.적십자 회담 등 당국간 회담과 이산가족 상봉이 금강산에서 이뤄졌고, 이산가족 면회소도 금강산에 건립될 예정이어서 금강산은 남북간 화해와 협력, 만남의 장이 되고 있다.

하지만 북한 관광 정례화 뒤편에는 우여곡절도 적잖았다. 1999년 6월에는 남측 관광객인 민영미씨가 북측에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40여일 동안 관광이 중단되기도 했다. 올해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으로 인해 두달여 동안 북행길이 끊기면서 금강산 관광은 위기를 맞기도 했다.

금강산 관광이 이처럼 어려워지자 정부는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모두 7만9천89명의 관광객에 대해 2백15억2천6백만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대북 송금 특검으로 조사받던 정몽헌(鄭夢憲)현대아산 회장의 투신자살은 금강산 관광사업에 먹구름을 드리웠다. 鄭회장 사망 후엔 현대아산 주식 갖기 운동 등이 펼쳐지고, 육로 관광이 본격 재개되면서 금강산 관광은 재도약의 기회를 맞았지만 앞길은 험난하기만 하다. 현대그룹 경영권을 인수한 금강고려화학(KCC)이 최근 대북사업 재고 의사를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금강산 관광사업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금강산 관광지구개발규정을 발표했고, 관광구역을 확정한 것은 그 방증이다. 핵 문제로 외교적 고립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금강산 관광사업을 경제적 탈출구로 삼으려는 의도도 묻어난다.

금강산 관광은 운영 주체와 관계없이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우선 관광객이 입산료로 지급하고 있는 관광 대가(해로 1백달러, 육로 50달러)로는 수익성 확보가 어렵다. 또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관광 여건 조성과 함께 먹거리.놀거리 시설 등도 보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