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시민 피해 보상에 최선|「페놀」 치른 대구 시장 인터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낙동강 페놀 오염 쇼크가 일어난지 2개월 남짓.
지난 봄 전국의 여론이 들끓었던 이 사건이 시국의 큰물에 휩쓸려 잊혀져가고 있지만 이해봉 대구 시장은 아직도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부임 4개월만에 두차례 페놀 유출 사태가 발생, 혼쭐이 난데다 최근 또다시 수도물에서 페놀과 중금속 성분이 기준치의 56배나 검출되었다고 발표가 나오는 등 여진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
페놀 쇼크가 진정국면으로 접어드는가 했더니 최근엔 일부 사회 단체의 신빙성 없는 수질검사 결과로 파동이 이어지는 등 시민들의 수도물에 대한 불신이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환경 보전 문제에 대한 의식이 크게 높아졌는데도 기업인이나 공직자들의 인식이 이를 따르지 못해 페놀 오염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깊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기업 윤리도 시급히 정립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지요. 그동안 각 기업이 공해 방지에 얼마나 소홀했습니까. 우리 공직자들도 시책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양에만 치중했지 질에 대해 신경을 덜 쓴 것도 사실입니다.
페놀 오염 사태가 발생했을 때 대구시의 대비책이나 사후 수습이 엉망이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1차 페놀 오염 사태 때는 돌발 사고에 대비하는 능력이 갖추어져 있지 않았고 사후 수습에 소홀했던 점도 인정합니다. 물이 아닌 시설 점검에만 치중하다가 시간을 낭비했던 것도 저나 관계자들이 모두 무지했던 탓입니다.
그러나 2차 사고 때는 관련 기관과 기민한 정보 교환으로 낙동강 수계에 대한 긴급 대응책에 나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상수도 수질 개선책이 궁금합니다.
▲평소 대구시의 상수도 시설이 전국에서 최상이라는 생각을 가졌는데 역시 허점은 있었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우선 1백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산화염소 및 분말활성탄 투입기를 각각 8대씩 설치하고 정수장 운영을 현대화하는 등 긴급 대책에 나섰습니다. 그 결과 2차 페놀 유출 때엔 즉각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었지요.
그러나 아직도 국내에는 페놀과 수은·납·카드뮴 등 중금속 유입 여부가 자동으로 체크되는 고도 정수 시설이 없어 사실상 무방비 상대입니다. 내년 말까지 5백44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개발된 고도 정수 시설을 갖춰 생수보다 더 맑은 물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또 93년부터는 수원의 다변화 사업을 추진, 낙동강수계 의존도를 91%에서 58%까지 낮출 계획도 마련해놓고 있습니다.
페놀 오염 사태에 따른 피해 배상 문제는 어떻게 진척되고 있습니까.
▲지난달 말까지 모두 1만3천4백55건에 1백65억7천7백만원의 피해 배상 신청을 접수, 두산 측에 일괄 청구했습니다. 이 가운데 물적 피해 1만1천4백여건 (11억6천1백만원)은 이의 없이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만 정신적 피해 2천36건 (1백54억1천6백만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압니다.
특히 임신부의 경우 페놀 오염에 대한 역학 조사 등 국내 의료진의 연구 결과가 없는 데다 정신적 피해 배상 케이스도 없어 분쟁 소지가 있습니다. 임신부가 취약한 심리 상태라는 점을 감안, 분쟁이 일어날 경우 환경 오염 분쟁 조정 위원회를 통해 조정에 나설 방침입니다. 국가 배상 기준도 참고해 피해자들이 충분한 배상을 받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대구=이용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