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시 "양천구서 소각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서울시가 26일부터 영등포.강서구의 소각 쓰레기를 양천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에서 처리하기로 했다. 양천구민들이 "주민과 합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구의 쓰레기를 우리 구에서 소각할 수 없다"며 반대해 6년째 해결점을 찾지 못하자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인접한 구의 쓰레기를 반입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영등포구와 강서구의 소각 쓰레기가 하루 90t씩 양천자원회수시설로 반입돼 처리된다. 하루 400t을 처리할 수 있는 양천자원회수시설은 현재 130t만을 처리해 가동률이 33% 수준이지만 영등포.강서구의 반입 물량을 처리하면 가동률이 77%로 올라간다.

그러나 양천자원회수시설로부터 반경 300m 이내의 '간접영향권'에 사는 주민과 구의원으로 구성된 주민지원협의체는 쓰레기 반입을 저지하기 위해 26일 오전 집회를 열기로 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 수도권 매립지 포화 상태=서울시는 3개 구의 자원회수시설 공동 이용을 더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해마다 488만t의 쓰레기를 김포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2022년 이후에는 매립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수도권 인근에 대체 매립지를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렇게 되면 쓰레기 대란을 피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자원회수시설을 활용해 매립 쓰레기를 줄이고 소각을 늘릴 경우 김포매립지를 2042년까지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하루 1만1170t으로 매립 쓰레기 2844t 가운데 2400t은 소각처리할 수 있는 것들이다.

더욱이 서울 시내 자원회수시설 네 곳 가운데 건립할 때부터 인접 자치구 공동 이용이 조건인 마포자원회수시설을 빼면 강남.노원.양천자원회수시설은 가동률이 50%를 밑돈다. 1995년 쓰레기종량제가 시행되면서 쓰레기가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96년 건립된 양천자원회수시설의 경우 97년 가동률이 71%였으나 현재는 33%에 불과하다. 4개 시설의 여유 처리 용량은 하루 1900t다.

회수시설의 가동률이 낮으면 온수 형태로 가정에 공급되는 난방열만 생산할 수 있으나 가동률이 높아지면 터빈을 돌려 전기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 주민들 반발=서울시는 시설을 공동 이용하기 위해 2001년부터 3개 구 주민과 370여 차례나 협의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주민들은 "다른 구 쓰레기까지 받아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자원회수시설을 돌릴 수는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강남구의 경우 올 초 주민지원협의체가 서초.송파구 등과 공동 이용하기로 합의해 놓고도 일부 주민이 입장을 번복하며 반대하는 바람에 무위로 돌아갔다.

한상열 서울시 청소과장은 "5년6개월 동안 주민들과 대화해 온 만큼 타협점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회수시설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난방비 지원을 현행 50%에서 70%로 확대할 계획이다. 폐기물 반입 지역에 사는 주민들에게 주는 지원금도 늘려 양천구의 경우 현재 연간 15억원에서 20억원 이상으로 늘어난다.

신준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