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I 3개월째 개선…수출·내수 기업 격차는 숙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올해 1분기 경제 성장률이 예상 넘는 ‘깜짝’ 수치를 찍은 가운데 2분기 들어 기업들의 체감 경기도 뚜렷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출과 내수, 대·중소 기업 간의 ‘온도차’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전산업 업황 실적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오른 73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68로 바닥을 찍은 뒤 석 달 연속 상승세다. 기업의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이 지수는 지난해 9월(73)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앞서 20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는 ‘회복’에 좀 더 방점이 찍혔다. 이달 제조업 업황 현황 PSI는 118로 한 달 전보다 10포인트 급등했다. 3월(114)을 넘어 연중 최고치를 새로 찍은 것이다.

이처럼 기업의 전반적인 체감경기가 좋아지는 한쪽에선 부문별 ‘격차’도 두드러지고 있다. 한은의 다음 달 업황 전망 BSI(제조업 기준)를 전월과 비교해보면 대기업(+5포인트)·수출기업(+3포인트)보다 내수기업(+1포인트)의 상승 폭이 확연히 떨어졌다. 중소기업은 오히려 한 달 새 1포인트 하락했다. 내수·중소기업이 피부로 느끼는 경기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딘 셈이다.

7개월 연속 증가한 수출의 온기가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완전히 퍼지지 않았고, 내수 바닥 경기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이런 온도차를 빠르게 줄이려면 규제 완화 같은 기업 투자 지원, 통화정책 완화를 통한 내수 시장 활성화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