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자는 연일 밤샘토론, 초선 44명은 침묵…여당 기현상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4·10 총선 패배 후 국민의힘에서 낙선자는 연일 목소리를 내고, 당선자는 말을 아끼는 기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낙선자 모임인 ‘첫목회’는 밤샘 토론 형식의 ‘보수 재건과 당 혁신’ 토론을 15일 오전에 마친 뒤 “총선을 통해 민심의 매서움을 목도했다”며 “공정과 상식이 무너지는데 정부는 부응하지 못했고, 당은 무력했다. 우리의 비겁함을 통렬히 반성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수도권 등 험지에 출마한 3040 낙선자가 중심인 첫목회는 지난달 18일 결성 후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 전당대회 룰 개정을 요구하고 비대위원을 추천하는 등 선거 패배의 원인 분석과 당의 진로에 관해 연일 목소리를 내오고 있다.

국민의힘 낙선자 모임인 '첫목회' 소속 이재영 간사(가운데)가 15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연구원 앞에서 총선 패배 원인과 당 수습 방안 등에 대한 끝장 밤샘토론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낙선자 모임인 '첫목회' 소속 이재영 간사(가운데)가 15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연구원 앞에서 총선 패배 원인과 당 수습 방안 등에 대한 끝장 밤샘토론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정작 원내에선 총선 결과를 반성하거나 당의 쇄신을 요구하는 초선 당선인과 재선 이상 의원의 움직임을 찾아보기 힘들다. 수도권 5선의 윤상현 의원만이 총선 패배 원인 분석과 당의 혁신을 위해 ‘보수 재건의 길’, ‘국민의힘 무엇을 혁신해야 하나’ 등을 주제로 5차례 공개 세미나를 열었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를 놓고서도 원내에선 “본인 선택에 달렸다”(이철규)는 식의 원론적 입장 표정이 다수지만 낙선자 사이에선 “총선의 실질 책임은 없다. 출마해야 한다”(조해진 의원)는 공개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아직 22대 국회가 개원하진 않았지만 초선 당선인 44명의 침묵이 두드러진다는 평가가 당내에서 나오고 있다. 중앙일보가 확인한 결과 총선 후 15일까지 초선 당선인 44명 중 페이스북을 통해 총선 패배의 책임을 토로하거나 당의 쇄신과 반성을 공개적으로 주장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당내 현안인 전당대회 룰 개정(김재섭·김민전), 민주당의 민생지원금·방송3법 추진에 대한 비판(박수민·김장겸) 등 8명 당선인이 이따금 자신의 의견을 밝혔을 뿐이다. 다만, 박정훈(서울 송파갑) 당선인이 ‘찐윤’으로 불리는 이철규 의원의 원내대표 불출마를 촉구하며 자기 목소리를 내긴 했지만 당내에선 “이 의원과 갈등을 빚은 당사자로서의 설전”이란 평가가 나온다.

비례대표 초선 당선인 16명 중 8명은 페이스북 계정도 찾아볼 수 없었다. 정치권에서 소셜미디어가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 도구로 자리잡은 지 오래지만 아직 준비조차 안 한 셈이다. 지역구 당선인들도 당선 후 지역 행사와 당선인 의총 참석 등 자신의 동정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하는 데 그쳤다. 라디오와 TV 출연이 잦은 김용태 비대위원도 ‘이태원 특별법’ 통과 환영 외에는 정치 현안에 대한 의견은 페이스북에 공유하지 않았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초선 당선인은 60여명은 10일 ‘채 상병 특검법’ 관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등 단체 행동에 나서며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조용한 국민의힘 초선 당선인의 모습은 4년 전 초선과도 비교된다. 당시 초선은 지금과 달랐다. 21대 총선에서 103석밖에 얻지 못한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에선 초선 당선인 중심으로 정당 개혁과 쇄신의 움직임이 활발했다. 김웅·박수영 의원과 윤희숙·허은아 전 의원 등이 국회 개원도 전에 ‘초심만리’, ‘명불허전 보수다’, ‘젊은미래당’ 등의 모임을 주도하면서 쇄신을 내건 ‘김종인 비대위’에 힘을 보탰다. 낙선한 한 의원은 “(4년 전 초선에 대해) 천방지축이라는 걱정도 있었지만, 총선 결과가 너무 충격적이라서 뭐라도 해야한다는 공감대가 초선들 사이에서 컸다”고 말했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초선들이 단체로 침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 재선 의원은 “낙선자는 남 탓만 하고, 당선자는 주류 눈치만 보는 게 지금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28명의 지역구 초선 당선인 중 강남3구와 영남을 제외한 당선인은 김재섭·김용태 당선인 2명에 불과하다. 초선 당선인의 비율도 4년 전 56.3%에서 40.7%로 줄면서 뜻을 모을 수 있는 초선의 숫자 자체도 줄었다. 결국 ‘공천=당선’인 텃밭 지역구 위주로 초선 당선인이 수혈되면서 지도부와 여권 주류에 더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한 초선 당선인은 “어느 모임에 가도 초선보다는 다선 의원들이 많으니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괜히 한 마디 잘못 말해서 찍힐 바엔 일단 지켜보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비례대표 당선인은 “지역별, 성별, 세대별로도 단톡방을 만들어서 소통하고 있다”며 “개원 후 연구 모임과 세미나 등의 가시적인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