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인구도 자산도 ‘고령화’…‘한국 엔진’이 늙어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에디터 노트.

에디터 노트.

고령 자산가가 늘고 있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자산을 따져보면 60세 이상의 순자산 규모는 2017년 1999조원에서 2022년 3744조원으로 87% 늘었습니다. 39세 이하는 순자산이 914조원에서 1301조원으로 42.1% 늘어나는 데 그친 것과 대비됩니다. 60세 이상 가구주의 순자산은 전체의 38%에 달합니다.

부의 쏠림 현상은 우선, 60세 이상 인구 수 증가가 직접적 원인이겠죠.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평가액이 오른 게 또 다른 이유일 겁니다. 60세 이상의 평균 자산(5억4800만원) 중 부동산(4억3000만원) 비중은 78%나 됩니다.

고령층은 소득이 줄거나 끊긴 상황에서 ‘장수 리스크’ 불안감이 겹쳐 소비와 투자에 소극적입니다. 이로 인한 ‘자산 잠김’ 현상은 경제 성장에는 걸림돌입니다. ‘잠금장치’를 풀어 돈이 돌아야 소비와 투자, 성장의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증여·상속세 제도를 손질해 부의 이전을 촉진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다만, 계층 간 부의 쏠림을 가중해 또 다른 사회 문제를 야기할 위험도 있습니다. 부모가 돈이 없어 연애·결혼·출산을 꿈꾸기 어렵다는 청년들 목소리도 들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전 국민 25만원’ 지급 법안이 위헌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정부에 있는 예산 편성권을 국회가 입법으로 강제하는 건 헌법 위반이라는 게 정부 주장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처분적 법률’을 근거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현금 지급 정책은 경제적 이점이 불분명합니다. 더구나 지금은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는 국민이 더 많습니다. 돈을 풀기 전에 충분한 대화와 토론이 우선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