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중앙시평

좁아지는 보수의 정치인구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이번 총선은 여러 교훈을 남겼는데, 그중 하나는 한국이 바야흐로 ‘정치인구학의 시대’에 본격적으로 접어들었다는 점이다. 인구는 크게 세 가지 요인에 따라 변한다. 출생, 사망, 이주다. 그리고 인구의 변화는 정치적 결과를 낳는다. 과거에도 한국에서 정치인구학의 효과는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영호남 인구 격차의 정치적 결과라든가, ‘안보·성장 보수’와 ‘운동권 86세대’ 간의 대결 같은 것들이다.

‘안보·성장 세대’ 점차 퇴장하면서
보수-진보 간 균형 급속하게 파괴
나이들면 보수 된다는 것도 옛말
보수의 변신과 각오가 필요한 때

전쟁과 가난을 경험한 보수적 세대와 운동의 승리를 경험한 86세대 간의 정치적 차이는 그들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루고 있는 동안에는 크게 눈에 띄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 드러난 것은 마침내 그 균형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앞으로 당분간 불균형은 심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보수정치에는 불길한 소식이다. 균형이 무너진 가장 중요한 이유는 ‘안보 보수’의 사망 혹은 질병일 것이다. 한국전쟁 때 10살이었다 하더라도 지금 80대 중반이다. 한국이 절대 빈곤에서 빠져나오기 시작한 1970년대에 10살이었다면 60대 후반이다. 보수의 아성을 이루던 세대는 사라지고 있는데 진보의 아성은 견고하게 존재한다.

그 결과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에 대한 지지의 세대별 분포다. 사람들은 막연히 청년은 진보적이고 노인은 보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큰 틀에서 보아 2012년 대선까지는 맞는 말이었다.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는 고령층의 표를 싹쓸이했고 문재인 후보는 젊은 층의 표를 싹쓸이했다. 문재인 정부를 겪으면서 젊은 세대의 젠더 분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약간 보수적으로 투표하던 과거의 패턴에서 벗어나기 시작했고, 특히 젊은 세대 여성들은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2030 남성들은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빠른 속도로 보수화했고, 젊은 세대에서의 이러한 젠더 분화는 지난 대선에서 소위 ‘갈라치기’ 논란의 단초를 제공하기도 했다.

진보정치에 대한 젊은 여성 유권자의 지지는 문재인 정부 초기에는 못 미치지만 아직도 견고하다. 이 분야에선 세계 수십개 국가의 경험에 대한 연구들이 쌓여 있는데, 확고한 결론은 여성 유권자들이 한번 진보화하면 다시는 보수 성향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또한 보수정치에는 불길한 소식이다.

18대 대선에서 이번 총선까지 12년이 지나는 동안 유권자들은 나이를 먹었다. 박근혜 후보를 흔들림 없이 지지했던 안보 보수 중 많은 이들이 세상을 떠났고, 진보의 세대적 기반인 86세대 유권자 중 절반 가까이가 60대에 접어들었다.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을 가장 많이 지지한 세대중 4050은 예전과 별 차이가 없지만, 단연 눈에 띄는 것은 60대가 진보의 새로운 지지기반으로 떠올랐다는 점이다. 이들은 나이를 더 먹더라도 여전히 비슷한 정치성향을 유지할 것이다.

젊었을 때 진보적이었던 사람도 나이를 먹으면서 보수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여기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들이 있다. 인구집단의 정치적 성향은 두 가지 효과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된다. 하나는 젊은 시절의 강렬한 경험이 평생 지속되는 것이다. ‘코호트 효과’라고 부른다. 다른 하나는 나이를 먹으면서 보수화해가는 것이다. ‘연령 효과’라고 부른다. 이 두 가지 중 어느 것이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정치성향은 달라진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대체로 1960년대 초반 출생자들까지는 연령 효과가 더 강하다. 이들은 나이를 먹으면서 보수적으로 변한다. 하지만 60년대 중반 이후 출생자들부터는 코호트 효과가 더 강하다. 이들은 청년 시절 학생운동의 경험을 평생 가지고 가면서 나이를 먹어도 보수화하지 않는다.

세상을 점령하는 가장 쉬운 방식은 우리 편의 숫자를 늘리는 것이다. 탄압받던 기독교인의 높은 출산율로 로마제국은 개종할 수밖에 없었고, 히스패닉의 높은 출산율은 앵글로 아메리카의 기반을 흔든다.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교육수준이 높고 온건한 종교적 믿음을 가진 집단의 출산율은 낮은 반면, 교육수준이 낮고 극단적 종교 신념을 가진 집단의 출산율은 압도적으로 높다. 이번 총선 과정에서 민주당이 공천 파동으로 가장 수세에 몰렸을 때에도 약 30%의 지지를 받았다. 선거에서 이기는 절대적 득표율을 51%라고 한다면 민주당은 기존 30%에 21%를 더 모으면 되지만, 국민의힘은 뼈를 깎는 분석과 변신이 없는 한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0’에서 시작해 51%를 모아야 하는 상황에 근접해 갈 것이다.

이번 선거 결과는 앞으로 정치인구학적 불균형이 가져올 결과들을 보여주는 서막에 불과하다. 진보 진영에서 범죄 혐의를 벗지 못할 것이 분명해 보이는 후보나 상상을 초월하는 막말로 논란을 빚은 후보조차 당선되는 것을 보면서 분개했을 보수 성향 유권자에게, 정치인구학의 대표적 학자인 에릭 카우프만의 말을 전한다. “이성의 시대여 안녕. 혼돈의 세상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