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학생 수학·읽기 OECD 최상위권…학습 격차도 최고 수준

중앙일보

입력

지난 7월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연합뉴스

지난 7월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연합뉴스

한국 학생들의 수학, 읽기, 과학 분야 학업성취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 간 학습 격차는 10년 전보다 더 벌어졌고, 다른 회원국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OECD는 5일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결과를 발표했다. 2021년 예정된 평가를 코로나19로 1년 연기해 치렀다. OECD는 3년 주기로 각국 만 15세 학생(중3~고1)의 학업 성취 추이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2000년부터 평가를 하고 있다. PISA 2022에는 OECD 회원국 37개국과 비회원국 44개국 등 81개국에서 약 69만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한국에선 186개교 6931명이 선정돼 시험을 치렀다.

일본·에스토니아 강세…非OECD 싱가포르 ‘전 영역 1위’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평가 결과 한국 학생은 모든 과목에서 최상위권에 올랐다. 순위로는 OECD 회원국 중 수학은 1~2위, 전체 참여국 중에서는 3~7위권이었다. 읽기는 OECD 중 1~7위, 전체 중 2~12위권을 기록했다. 과학은 OECD 중 2~5위, 전체 중 2~9위권이다. PISA는 평균점수 오차를 감안해 순위를 범위로 표시한다. 지난 PISA 2018에 비해 각 영역의 순위가 소폭 상승했다.

OECD 국가 중 한국보다 순위가 높거나 비슷한 국가는 일본과 에스토니아, 아일랜드 등이다. 수학은 일본, 읽기는 아일랜드·일본·에스토니아가 강세를 보였다. 과학도 일본과 에스토니아가 최상위권에 올랐다. OECD 비회원국까지 포함하면 싱가포르, 마카오, 대만 등 아시아 국가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특히 싱가포르는 3개 과목 모두 1위였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OECD 평균, 코로나19 이전보다 하락…한국은 소폭 상승

코로나19를 겪으면서 OECD 국가들의 학업 성취도 점수는 전 영역에서 하락했지만, 한국은 점수가 소폭 상승했다. OECD 국가의 평균 점수는 PISA 2018 때 수학 489점, 읽기 487점, 과학 489점이었지만 PISA 2022에선 수학 472점, 읽기 476점, 과학 485점으로 줄었다. 한국은 같은 기간 수학 526점→527점, 읽기 514점→515점, 과학 519점→528점으로 올랐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는 읽기 영역에서 두드러졌다. 읽기에서 한국 여학생(533점)이 남학생(499점)보다 평균 점수가 34점 높았다. 수학은 남학생, 과학은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OECD 평균으로도 읽기 점수는 여학생(488점)이 남학생(464점)보다 24점 높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기초학력 제고·교육격차 완화 과제도 확인”

한국의 학습 격차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PISA는 주기별로 수학·읽기·과학 중 하나를 정해 깊이 분석하는데, 이번에는 수학이 분석 대상이었다. 학생 간 학습 격차를 보여주는 ‘학교 내 수학 점수 분산 비율’은 한국이 98.1%로 OECD 평균(68.3%)보다 1.4배 높았다. 분산 비율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점수 격차가 크다는 의미다. 한국의 학습 격차는 이번 평가 대상 국가 81개국 중 몰타 다음으로 높다. 학습 격차는 10년 전보다 커졌다. PISA 2012 때 수학 점수의 분산 비율은 69.2%였다. PISA 2018과 비교해도 이번 수학 평가에서 상위권 학생 비율이 증가(1.5%p)한 만큼, 하위권 학생 비율(1.2%p)도 늘었다.

한편, 수학에 대한 불안감이나 수학 수업 분위기는 10년 전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수학 불안 지수를 PISA 2012와 비교한 결과, 이번 조사에서는 –0.05로 10년 전(0.31)에 비해 점수가 낮아졌다. OECD 국가 평균(0.17)보다도 낮다. 수학 불안 지수는 PISA 2012에 참여한 OECD 국가 평균을 0으로 설정해 표준화한 수치로, 지수가 높을수록 학생의 수학 불안감이 높다고 해석한다. 수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수학 수업 분위기 지수’(0.84)는 10년 전(0.19)은 물론, OECD 평균(0.02)과 비교해도 높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평가 결과 긍정적인 부분도 많이 드러났지만, 기초학력 제고·교육 격차 완화와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공교육 경쟁력 제고, 사교육 경감 대책 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