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선 주자 7인 재산명세②]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월간중앙

대권 고지를 향한 대선주자 7인의 경쟁이 본격화됐다. 권력의 정상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고비를 넘어야 한다. 재산 문제는 그중에서도 통과 절차가 가장 높고 험하다. 대선 주자에게 득이 될 수도 있고, 독이 될 수도 있는 재산 명세를 미리 점검했다.


7인 대선 주자들의 재산은 1다(多) 3중(中) 3소(小)로 요약된다. 1다는 묻지 않아도 알 수 있을 만큼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다. 공직자 재산등록 때 스스로 공개한 재산만 170억 원대로, 다른 주자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그의 재산 중 가장 큰 비중은 부동산으로, 전체 재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95%를 웃돈다.

고 건 전 총리,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모두 10억 원은 넘고, 20억 원은 안 되는 재산을 신고해 3중 그룹을 형성했다. 3중 그룹의 공통 사항은 하나같이 재산가치에서 빛을 발하는 ‘똑똑한 집 한 채’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3중 그룹은 모두 서울 요지에 대지가 넓은 단독주택이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손학규 전 경기지사,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은 대선 주자 중에서 재산만으로 비교하면 3소 그룹에 해당한다. 3소 그룹의 재산은 5억 원 이상 10억 원 미만이다. 3소 그룹은 수도권에 집은 있으나 이른바 블루칩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3인은 예금액이 1억~2억 원 사이로, 3중 그룹보다 절대액수가 많을뿐더러 비중도 훨씬 높은 것이 특징이다.

2.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돈에 대한 결벽증, 재테크에 무관심

김근태 의장은 주식투자와는 평생 거리를 두고 살아왔다. 그런 김 의장이 몇 년 전 주변의 권유로 생애 처음 ‘국 엔터프라이즈’라는 회사의 주식에 투자, 1,700주를 보유하고 있다. 지금도 상장이 안된 주식으로, 사실상 포기한 ‘재산’이다.

김 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은 남들 앞에서 돈 욕심을 내보인 적이 없다는 것이 주변 사람들의 한결같은 말이다.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은 이런 그를 가리켜 “돈에 관한 한 일종의 결벽증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그의 재산은 2006년 2월28일 공개 기준으로 총 5억3,269만여 원이었다.<표 참조>

김 의장의 재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집이다. 지금 살고 있는 자택은 자신의 지역구(도봉갑)인 서울 도봉구 창동의 삼익빌라다. 그가 소유한 부동산으로는 유일한 재산이다. 건평은 139.95㎡(42평형)인데 대지 지분이135.36㎡(40평)으로 건평에 육박할 만큼 마당이 넓은 쾌적한 집이다.

2004년 초 2억8,000만 원을 주고 샀다. 2000년 16대 총선 전에 2억 원에 전세를 얻어 살던 집을 이때 아예 매입한 것이다. 그 비용은 삼익빌라 이사 전에 살던 서울 노원구 하계동 청구빌라(161.87㎡, 49평형)를 2억4,500만 원에 매도하고, 전세금 1억7,000만 원을 돌려준 뒤 나머지 돈을 보태 충당했다.

이 자택의 2005년 말 기준 신고가액은 2억6,268여 만 원으로 매입가보다 낮다. 김 의장 자택의 시가는 매매가 드문 편이어서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 인터넷 부동산 매매정보에 의하면 창동에서 김 의장 자택보다 조금 넓은 45평형 빌라의 가격이 3억4,000만~3억6,000만 원 선이다. 이를 토대로 김 의장 자택 시가를 추정해 보면 재테크 면에서는 성공했다고 보기 어렵다.

▶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의 유일한 소유 부동산인 서울 창동 삼익빌라. 마당이 넓고 쾌적한 집이나 재산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지않다.

김 의장은 자택과 가까운 서울 도봉구 창동에 옛 지구당 격인 지역 사무소를 두고 있다. 한 상가건물에 24㎡(7.2평)를 2004년 5,500만 원을 주고 전세를 얻었다. 당시 지구당 제도가 폐지되면서 인근에 있던 이전의 사무실(115.7㎡, 35평)을 5분의 1로 줄여 이곳으로 이사한 것이다. 옮기기 전의 사무실 전세금이 9,280만 원이었으므로 비용부담도 덩달아 40%가량 줄일 수 있었다.

또 김 의장은 자신의 외곽 싱크탱크 격인 ‘한반도재단’(한반도평화와경제발전전략연구재단의 약칭) 이사장을 맡고 있다. 사무실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신동해빌딩 201호에 있다. 실면적 30여 평 남짓한 이 사무실 운영에는 보증금 2,000만 원에 관리비를 포함한 월세가 200만 원 정도 들어간다. 상근자 5~6명에게는 얼마간의 활동비도 주고 있다.

예금 1억3,800여 만 원으로 꽤 많은 편

그러나 2001년 설립된 이 공익재단을 운영하는 데 현재로서는 김 의장의 개인부담은 없다. 문용식 한반도재단 사무총장은 “소액다수의 후원금을 바탕으로 10명의 이사진이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김 의장은 부인 인재근 씨와 1987년 로버트 케네디 인권상을 공동 수상하면서 부상으로 받은 상금을 이 재단에 전액 기부했다.

예금은 2005년 말 기준으로 본인 명의로 5,100여 만 원, 배우자 명의로 8,600여 만 원 등 총 1억3,800여 만 원으로 다른 대선 주자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예금이 2004년 말 기준보다 본인이 648만여 원, 배우자가 3,862여 만 원 각각 늘었다. 김 의장은 그 이유를 ‘예금·보험·월급 등으로 인한 증가분’이라고 2006년 2월28일 재산공개 때 설명했다.

김 의장 역시 주식투자와는 평생 거리를 두고 살아왔다. 그런 김 의장이 현재 ‘국 엔터프라이즈’라는 회사의 주식 1,700주를 보유하고 있다. 지금도 상장되지 않은 주식이다. 김 의장은 몇 년 전 가까운 국회의원들의 권유로 당시로서는 ‘적지 않은 돈’인 850만 원을 “생애 처음으로 주식에 투자”했다. 한 측근은 이 주식에 대해 “구입 당시 가격으로 재산목록에는 올라 있지만 회사 실적이 미미해 주식가치가 떨어져 사실상 포기한 재산”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재산공개 때 미혼인 아들과 딸의 예금까지 포함시켜 그야말로 ‘성실하게’ 신고했다. 다른 주자들과의 균형을 위해 두 자녀 명의로 된 예금 8,800여 만 원을 빼고 나면 4억4,457만여 원으로 줄어든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적지만 오른 집값을 고려하면 그의 재산 총액은 5억1,000여 만 원으로 신고금액과 엇비슷해진다.

재산평가의 전제

공직자 재산공개에서 가장 많이 지적되는 문제점은 등록 부동산 가격에 시세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현행 공직자 재산 신고 법규의 맹점 때문이다. 신고기간에 아파트를 포함한 부동산의 매매가 이뤄지지 않으면 굳이 변동된 시세로 신고하지 않아도 되도록 돼 있다. 이 점이 대선 주자들의 재산을 가늠하고 비교하는 데도 커다란 애로로 작용했다. 그래서 대지의 재산가치는 가능한 한 2006년 1월1일자 건설교통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삼았고, 아파트의 경우 비교적 공신력이 있는 국민은행 제공 ‘KB 아파트 시세’를 참고해 대선 주자들의 재산을 재평가했다.<편집자>

윤석진_월간중앙 차장 [grayoon@joongang.co.kr]

매거진 기사 더 많이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