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영훈의 과학 산책

누구나 조금씩은 틀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김영훈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

김영훈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

2023년 퓰리처상을 받은 소설 『트러스트』는 대공황 시기 공매도로 거대한 부를 이룬 한 투자자와 그 아내에 관한 액자소설로 시작한다.

안타까운 아내의 죽음과 이어지는 우울한 삶으로 소설이 끝나나 싶은 순간, 새롭게 등장한 화자의 자서전이 다시 시작된다.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이야기인데, 동시대를 살아간 다른 이름의 투자자의 삶이 좀 더 긍정적으로 묘사된다.

이 자서전이 미완성으로 끝나고 바로 세 번째와 네 번째 화자의 이야기들이 이어지는데, 짐작하셨겠지만 이 네 이야기는 모두 같은 사람에 대한 것으로서 다 읽고 나서야 비로소 진실에 다가갈 수 있게 된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50년 작 영화 ‘라쇼몽(羅生門)’과 흡사한 구조다.

과학 산책

과학 산책

무협소설의 대가 김용의 1959년 작 『설산비호』에서는 더 나아가 두 개의 연관된 사건에 관한 여러 사람의 조금씩 왜곡된 진술이 이어지고 이들을 다 듣고 나서야 진실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사람의 기억은 오염되고 왜곡되어 동일한 사건에 대해 다른 진술이 나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된 정보를 읽어내거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때도 매 순간 오류가 따르기 마련이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오랜 세월 안전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해 오류 수정(error correction) 방법들을 연구해왔다. 잘 알려진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다. 한 사람의 진술이 10%의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면, 독립적인 세 명의 진술을 듣고 다수의 의견을 취할 경우 오류 가능성이 3% 이하로 떨어진다. 다섯명의 진술을 모을 수 있다면 오류 가능성을 1%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음악을 들을 때나 영상을 시청하고 물건을 살 때마다 오류 수정은 쉬지 않고 이루어진다.

오류 수정을 일상화해야 잘못된 판단을 피할 수 있다.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주장을 폭넓게 청취하는 것은 올바른 판단으로 나아가는 동서고금의 지혜인 듯하다.

김영훈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