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종이 대신 '디지털교과서'…'409만대 기기' 보급 어쩌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그 부분은 아직 숙제가 덜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디지털교과서 전면 도입 계획을 발표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디지털 기기 보급 대책을 묻는 기자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교육부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초중고교에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는 정책을 내놨다. 하지만 400만대가 넘게 필요한 디지털 기기 확보 방안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필요한 기기 409만대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교육부는 23일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하면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관건은 디지털교과서를 쓰기 위해 필요한 디지털 기기를 확보 방안이다.

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기 위해선 모든 학생에게 태블릿PC나 노트북컴퓨터 같은 디지털 기기를 나눠줘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3월 기준 전국 학교에 보급된 디지털 기기는 151만대다. 학생 100명 중 28명만 디지털교과서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다. 교육부는 2027년까지 디지털 기기 409만대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남은 시간4년… 지역별로 보급률은 천차만별

지난 1월 1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0회 대한민국 교육박람회에서 참관객이 디지털 교과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월 1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0회 대한민국 교육박람회에서 참관객이 디지털 교과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초등 3학년부터 고교까지 전 학년에 디지털교과서가 도입되는 2027년까지 아직 4년이 남았지만, 교육부 목표가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교과서를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 보급 책임을 떠맡은 것은 전국 시·도교육청이기 때문이다.

이주호 부총리는 기기 확보 방안을 묻는 기자 질문에 “교육청과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만 답했다. 심민철 교육부 디지털교육기획관도 “17개 시도 교육감들이 디지털 교육에 의지를 갖고 있다”며 “교육부와 협업하면 원활히 보급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기기 보급에 필요한 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하지 않았다”고 했다.

교육부가 디지털 기기 보급을 교육청에 맡겼지만, 지역마다 보급률 차이가 크다. 부산의 경우 올해 2월 기준으로 이미 100% 보급을 완료했지만 대구는 66%, 광주는 37%에 불과하다. 서울은 중학교 2학년에게만 보급을 완료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2025년까지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의 디지털 기기를 보급하려 했지만 시의회에서 예산을 삭감해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3·4학년은 보급 대상이 아니었는데 교육부의 디지털교과서 정책으로 사업 계획도 전면 재수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교육부 “예산 규모 알 수 없다”

디지털교과서의 콘텐트 제작과 유지·보수 비용 등 관련 예산에 대해서도 교육부는 아직 뚜렷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심민철 기획관은 “예산 규모를 지금 특정할 수는 없다”며 “전문기관이나 발행사, 검인정교과서협회, 에듀테크 기업들과 논의하면서 가격체계도 함께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오는 5월까지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을 정하고 8월에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관계자는 “종이로 된 교과서 한 권을 만드는데 보통 3억원 정도가 필요하다”며 “디지털교과서는 예산이 이것보다 3~4배 정도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현장 교사들의 반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디지털 기기의 관리 문제를 두고 각종 민원을 교사들이 떠안게 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전북의 한 초등학교 교사는 “가장 큰 문제는 기기 보급이 아니라 유지보수와 관리에 있다”며 “현재도 아이들이 외부로 기기를 반출했다가 분실하거나 고장나면 학부모에게 수리비를 요청해야 하는데, 비싸다고 반발하기도 해서 힘들다”고 토로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