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네이버·카카오 미등기임원 평균 46세…CJ는 50세, 삼성 52세

중앙일보

입력

국내 주요 기업 미등기임원은 평균 53세로 10년 전보다 약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500대 기업 미등기임원 연령대별 비중. 제공 CEO스코어

500대 기업 미등기임원 연령대별 비중. 제공 CEO스코어

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해 기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012·2017·2022년 등 3개 연도의 1분기 미등기임원 현황을 공시한 253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미등기임원의 평균연령은 53.2세로 집계됐다.

반면 2012년 당시 조사 대상 기업의 미등기임원 평균 연령은 51.7세로, 10년 전보다 올해가 1.5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 측은 2016년 '고용상 연령차별 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기업의 정년이 55세에서 60세로 늘어나면서 미등기임원의 평균 연령도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연령대로 보면 50대 비중은 2012년 1분기 66.3%에서 올해 1분기 76.9%로 10.6%포인트(p) 늘었다. 반면 40대 비중은 같은 기간 29.6%에서 17.0%로 줄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네이버의 미등기임원(평균 46.3세)이 가장 젊었다. 이어 카카오(46.4세), CJ(50.6세), 삼성(52.0세), SK(52.3세), 현대백화점(52.3세) 등의 순이었다. CEO스코어는 IT 업종 미등기임원이 상대적으로 젊은 편이며, CJ·삼성·SK 등 전통적인 대기업들은 경영진의 세대교체가 진행되면서 임원의 연령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조사대상 기업 중 미등기임원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기업은 하림(56.8세)이었다. 포스코(56.6세), 한진(56.5세), 에쓰오일(55.9세), 영풍(55.9세) 등도 높은 편이었다. 미등기임원 중 최연소는 신동원 농심 회장의 장남인 신상열(29) 상무, 최고령은 윤세영(89) 태영건설 창업회장이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