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어' 소설 쓰고 있는 차인표…"매년 두편씩 5년 해보겠다"

중앙일보

입력

자신의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는 차인표. "소설을 쓸 때 완전한 자유로움 느낀다"고 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자신의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는 차인표. "소설을 쓸 때 완전한 자유로움 느낀다"고 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지난달 말 서울 청담동. 인터뷰를 앞두고 자신의 사무실에 먼저 도착해있던 배우 차인표는 얇은 책을 한 권 읽고 있었다. 제목은 『이라크의 역사』. “지금 쓰고 있는 이야기와 연관이 있어서 보고 있다”고 했다.

2009년 냈던 첫 소설 다시 낸 배우 차인표 인터뷰 #"소설 쓸 때 완전한 자유로움 느낀다. 운명처럼 쓰겠다" #코로나 시국 2년동안 장편 완성, 새로운 장편도 쓰는 중

차인표의 첫 소설이 다시 나왔다. 2009년 냈던 장편『잘가요 언덕』이 지난달 새로운 제목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으로 복간돼 다시 출판됐다. 백두산 자락의 한 마을에서 일본군 위안부에 징집됐던 ‘순이’의 삶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다. 책날개의 작가 소개는 이렇게 돼 있다. “서울 출생. 소설가이자 독서광 그리고 29년 차 배우. (중략) 구전 설화와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둔 한국형 판타지 시리즈를 기획 집필 중이다.”

차인표는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고 있다. “글쓰기가 내 운명인 것처럼 써야겠다 마음먹었다. 하루에 4~5시간씩 꼭 앉아 2500자씩 쓴다.” 코로나 19 이후 거의 2년 동안 이 규칙을 지켰다. “2500자를 쓰고, 다음 날 2000자를 지워버리는” 일을 반복한 끝에 장편 소설 한 편의 초고를 마쳤고, 그다음 장편을 시작했다고 했다. 차인표는 무엇 때문에 이렇게 쓸까. 무엇을 쓰고 있을까. 다음은 일문일답.

첫 소설이 13년 만에 복간됐다.  

“출간 6년 후 절판 결정을 내가 내렸다. 11세이던 아들을 위해 쓴 책이었다. 위안부의 아픈 역사를 숫자가 아닌 생명에 관한 이야기로 아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썼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니 읽는 사람도 별로 없고 책이 둥둥 떠 있는 기분이었다. 미안해서 절판을 결정했다가 이번에 새로운 출판사의 제안으로 복간했다.”

다시 나온 책이 작심하고 소설을 내겠다는 신호탄처럼 보인다.

“2011년 두 번째 장편 『오늘예보』를 낼 때까지도 죄책감이 있었다. 신춘문예로 등단한 것도 아니고, 유명인이기 때문에 작품을 쉽게 발표할 수 있었다. 작품이 그만큼의 값어치가 있나 검열을 하다 보니 꾸준히 글을 못 썼다. 그러다 코로나 시대가 되면서 글쓰기에 집중하게 됐다. 많이 읽고 많이 썼다.”

‘연예인 소설’이라는 한계가 짐이 됐다는 뜻인가.

“내 소설은 당시 그룹 빅뱅의 화보집, 또 어느 여배우의 뷰티 책과 함께 묶여 소개되더라. 연예인이라 쉽게 출판한 건 맞지만 내 진심이 전해지지 않은 점은 아쉬웠다. 결국 많이 쓰는 수밖에 없다. 계속해서 소설을 써야 소설가로 보지 않겠나.”

어떤 작품을 어떻게 쓰고 있나.

“이번엔 좀 다른 이야기다. 일제 강점기 직전 조선의 인어(人魚)다. 민담이나 설화는 그 시대 사람들의 아픔을 반영한다. 나는 인어의 설화에서 인간들의 욕망과 그 충돌을 발견했다. 특히 독도에 수만 마리가 살았다가 포획으로 멸종된 강치(물갯과 동물)의 역사와 엮으며 인간의 욕망과 슬픔을 연결했다.”

장편 소설 두 편을 발표했고 세번째, 네번째 소설을 집필 중인 차인표.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장편 소설 두 편을 발표했고 세번째, 네번째 소설을 집필 중인 차인표.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자리 잡은 배우이면서 기부와 나눔의 메시지를 전하는 유명 인사다. 소설 쓰기를 사명처럼 여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유로움 때문이다. 가장 자유로워질 수 있는 방법이 읽고, 생각하고, 편집하고, 창작하는 순간이다. 예를 들면 이런 거다. 중국 집안(集安)의 국내성을 보면 어떤 사람들은 고구려 역사에 관심을 가진다. 또 다른 사람들은 축조법을 궁금해한다. 나는 그걸 지을 때 동원됐을 수십만명을 떠올린다. 해자를 파다 죽었을 수 있는 하층민,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 그 마음을 이해해 이야기를 써보고 싶어진다.”

배우로서 연기하며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자유로움 말고 다른 감정을 느끼나. 어떻게 다른가.

“영화나 드라마의 핵심은 공동 작업이다. 이야기를 만들고 투자받고 스태프들이 모여 수많은 역할을 나눈다. 배우는 퍼즐의 한 조각이다. 반면에 글쓰기는 퍼즐 자체의 판을 짠다. 그 판이 훨씬 작고 인기가 없더라도 내가 온전히 구성을 담당한다는 자유로움이 엄청나다.”

글쓰기를 배운 적은 없다. 독학인가.

“맞다. 지식의 접근 방식이 완전히 변화했다. 영국 옥스퍼드, 미국 예일대의 소설 강좌를 영상으로 누구나 볼 수 있다. 매일 운동할 때 두시간씩 이어폰을 귀에 꽂고 이런 강의를 듣는다.”

새로운 작품은 언제 볼 수 있나.

“구체적으로는 모른다. 소설가로서 새싹이라 죽지 않고 나무가 되는 게 목표다. 다만 내년에 56세다. 늦게 시작한 만큼 일 년에 두편쯤 발표하고 싶다. 그렇게 5년 정도 하면 스스로 ‘내 직업이 소설가’라고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연기자 차인표는 계속 볼 수 있나.

“물론 주연이 들어오면 연기에 집중해 몇달 동안 아무것도 못한다. 그런 감안은 해야겠지만…. 계속 나를 부를까? 모르겠다. 이제 목표는 내가 행복한 일을 하는 거다. 글쓰기가 제일 자유롭고 행복하니 더 나이 들어서 직업은 소설가이길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