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인권회복에 평생 바친 이금주 회장 영면

중앙일보

입력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 운동과 일본 정부 및 전범기업들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이끌어온 이금주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이 102세를 일기로 영면에 들었다. 그 또한 일본 제국주의 때문에 남편과 생이별을 당한 피해자였다.

예순아홉에 유족회장 맡아 ‘1000인 소송’ 등 투쟁

일제에 의해 21세때 남편과 생이별

일본을 오가며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을 상대로 투쟁해온 이금주(102)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의 생전 모습. 사진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일본을 오가며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을 상대로 투쟁해온 이금주(102)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의 생전 모습. 사진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14일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등에 따르면 이금주 회장은 지난 12일 오후 11시 55분쯤 전남 순천의 한 요양병원에서 오랜 투병 끝에 별세했다.

이 회장은 일제에 끌려가 목숨과 가족을 잃고 평생을 후유증에 고통받는 피해자들을 대변해 온 일제 피해자 인권 운동의 주역으로 불린다. 이 회장은 21살이던 1940년 10월 김도민씨와 결혼했지만, 남편은 결혼 2년 만인 1942년 11월 일본 해군 군무원으로 남태평양에 끌려갔다. 김씨는 이듬해인 1943년 11월 25일 남태평양 타라와섬에서 미군의 대규모 상륙작전 전투 중 사망했다.

예순아홉 나이에 맡은 유족회장 

14일 광주광역시 서구 천지장례식장에 이금주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의 빈소가 마련돼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14일 광주광역시 서구 천지장례식장에 이금주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의 빈소가 마련돼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이 회장은 1988년 들끓는 민주화운동의 열기에 이어 태평양전쟁 희생자 전국유족회가 발족한 것을 계기로 광주유족회 초대 회장을 맡았다. 그의 나이 예순아홉이었다.

이 회장은 1992년 원고 1273명이 일본 전범 기업에 배상을 요구하며 도쿄지방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한 이른바 ‘광주 1000인 소송’을 이끌었다. 일제에 의한 피해자들이 처음으로 제기한 대규모 집단 소송이었다.

이 회장은 일본 정부와 전범 기업을 상대로 ▶귀국선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 소송 ▶일본군 위안부‧여자 근로정신대 피해자 등이 원고로 참여한 관부재판 소송 ▶B‧C급 포로감시원 소송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소송 ▶일본 외무성 한·일회담 문서공개 소송 등 7건의 법적 투쟁을 해왔다.

일본 오가기만 80여 차례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을 상대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 운동 및 손해배상 소송에 앞장서온 이금주(오른쪽)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의 생전 모습. 사진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을 상대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 운동 및 손해배상 소송에 앞장서온 이금주(오른쪽)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의 생전 모습. 사진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이국언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대표는 “이 회장이 소송과 증인 출석, 시민단체와 연대 활동 등 노구를 이끌고 일본을 오간 것만 80여 차례가 넘는다”면서도 “결과는 번번이 패소뿐이었고 일본 법정에서 기각당한 것만도 17차례에 이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회장은 멈추지 않았다. 2003년 국회에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논의가 한창일 때 “내가 죽더라도 이 법안을 제정해 달라”는 유서를 전했다.

우리 정부를 상대로 한 ‘한일회담 문서 공개 소송’에도 직접 원고로 나서 특별법 제정에 앞장섰다. 이 회장의 헌신에 힘입어 2004년 노무현 정부에서 일제 강제동원 특별법이 제정됐고 40년 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한일회담 문서’도 세상에 나왔다.

빈소로 이어진 추모 발길

이 회장의 빈소는 일본 정부를 상대로 끝없이 투쟁해 온 그의 삶을 기리려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이 회장과 함께 일본 정부 및 전범 기업과 맞서고 미쓰비시 중공업 근로정신대 소송 원고로 참여한 양금덕(90) 할머니도 빈소를 찾았다.

그는 “이 회장이 돌아가셨다니 기둥 하나가 부러져 나간 것 같다”며 “일제 피해자들을 위해 오랜 시간 수많은 고생을 했지만, 그래도 힘들다는 내색 한 번 없었고 하늘나라에 훌훌 날아가셔도 우리 일을 살펴 주실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에서도 이 회장의 뜻을 기리는 추도사가 전해졌다. 나고야 미쓰비시·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해 온 일본 활동가 다카하시 마코토씨는 “한일 대립의 원흉인 일본 국민으로서 ‘편안히 잠드소서’라고 말할 자격 없다”면서도 “계란으로 바위 치기라는 한국 속담을 가슴에 새기고 근로정신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맞서겠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