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 1인당 GNP 종잡을 길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동구 각국과 소련의 1인당 국민소득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
이같은 질문은 사회주의 국가와 자본주의 국가의 경제력을 비교해 보려는 사람이나, 공산 국가에 진출하려는 서방의 기업·은행들이면 누구나 가질 법한 의문이다.
그러나 이처럼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도 없다.
한 예로 미중앙정보국(CIA) 은 소련의 최근 1인당GDP (국내총생산) 를 8천9백달러로 잡고 있으나 워싱턴의 경영자문회사인 플래니콘사는 이보다 37%나 적은 5천6백달러를 매기고있고, 동독의 경우 각 연구기관별 추정결과의 편차가 소련보다 더욱 심해 최저 4천달러에서최고 1만3천달러까지로 1인당 GDP가 잡히고 있다.
GDP 자체가 경제력을 비교하는데 분명한 한계가 있는 지표지만, 이처럼 공산국가의 GDP 추정이 큰 편차를 보이고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공산국가의 경제 통계에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쓰는 국민총생산 개념이 없으므로 서방의 연구 기관마다 서로 다른 추계 방식을 쓰고있기 때문이다.
미 CIA의 경우 소련 영토안의 가축·곡물·공장등의 첩보위성 사진을 찍어 각 부문의 생산량을 추정한뒤 이를 미국내 시장가격으로 환산해 GDP를 평가하는데 참고하고 있다.
그러나 CIA의 이같은 추계 방법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CIA가 소련의 경제력을 과대 평가함으로써 서방의 군사력 강화를 유도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의심하는가 하면, 이론적으로도 소련상품의 질이 미국상품의 질과 같을 수가 없으며, 소련의 낙후된 유통구조로 인해 그나마 생산물중 상당량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지도 않기 때문에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심지어 국민 생산에 대한공산 국가들 스스로의 통계조차 필요에 따라 왔다갔다 하는 경우가 있어 이들의 국민소득 추계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공산국가들은 서방국가의 GCP대신 순물질생산(NMP)통계를 쓰고있는데 과거 공산국가들은 정치적 목적으로 NMP를 실제보다 불려 잡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제금융기구에서 더 많은 돈을 빌려쓰거나 국가간의 무역에서 더 낮은 관세의 혜택을 보기 위하여 국민생산 통계를 의도적으로 낮추는 것이 더 유리한 처지가 됐다.
【영이코노미스트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