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82%가 경제안정 바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경제기획원이 한국갤럽 조사 연구소에 의뢰해 실시한 이번 조사는 경제정책 수립에 국민여론을 수렴, 반영하려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조사는 전국(제주도 제외)의 20세 이상 남녀 1천5백명을 무작위 표본추출, 지난15∼24일 실시했으며 신뢰도는 95%로 오차한계는 ±2·5%.
주요내용을 요약한다.

<경제 현실 인식>
현 경제상태에 대한 위기의식이 높다.
「매우 심각」42·9%, 「약간 심각」37·9%로 심각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특히 이러한 위기의식은 고 학력자(대졸이상 87·9%) 생활수준이 높은 계층(84·9%) 대도시(84· 8%) 일수록 높았다.
경제위기를 불러온 원인은 역시 과반수이상(52·9%)이 과도한 임금인상, 노사분규로 인한 생산·수출차질을 꼽았으나 다음으로 28·4%가「기업의 기술개발 노력부족과 부동산 투기 등 비 생산적 투자」를 지적, 기업의 책임도 적지 않음을 표시했다.
경제난국을 타개하려면 모든 계층의 자제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의견(89·9%)이 절대적. 그러나 정작 경제회생을 외해 임금·세금면에서 스스로의 희생을 감수할 뜻이 있느냐는 물음에는「없다」(47·3%) 가「있다」(46·5%)는 사람보다 다소나마 많아 협조인식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냈다. 다시 말해 총론 찬성·각론 반대의 이건 배반적 입장이 아직도 많다는 얘기다.

<경제 전망>
내년 경제전망은「더 나빠질 것」(32·5%) 이라는 의견이「좋아질 것」(26·7%)에 비해 우세했다. 특히 국민들 중 76·1%가 올해보다 물가가 더 오르리라고 생각해 인플레에 대해 큰 불안을 느끼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단기적 성장과 안정사이에 우선 순위를 묻는 질문에서도 대다수(82·1%)가「물가안정 없이는 국민생활 향상과 장기적 성장이 어려우므로 우선은 경제안정을 이뤄야한다」고 응답한데서도 그대로 드러나 일시적 경기부양책보다는 근본적 치유를 원하고 있음을 반영했다.

<경제정책 방향>
내년도 경제운용의 최우선 과제로는「물가안정」(41·1%)「노사관계 안정」(30·6%) 「투기억제」(11·8%)를 꼽았다.
구체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경제정책 중에는「물가안정」(33·6%)「지역간 균형 발전」(20·9%) 「소득불균형 시정」(16·6%) 「지속적 경제성장」(15·1%) 순으로 중요도를 지적.
또 경제를 살리기 위해 핵심과제인 경쟁력을 강화하려면「기업과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노력」(15·1%)과「기업의 부동산 등 자구노력」(24·4%) 「근로자의 욕구자제」(15· 5%)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해 노사양측의 자세 전환이 절실함을 나타냈다.
근로자의 임금 문제는 최근 2∼3년간「많이 올랐다」(55·7%)는 쪽이 다수로 앞으로는 「생산성향상 범위 내에서 인상되어야 한다」(62·9%)는 의견이 절대적으로 과도한 임금인상에 대한 자제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공정·형평시책>정부가 추진중인 토지공개념·금융 실명제 등 제도 도입은 56·1%가 이 정책이「형평·불공정 시정에 기여할 것」으로 대담함으로써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국민(72%) 이 빈부격차가 심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부동산 투기 등 불노소득」(47·7%)을 지적해 소득의 불균형보다 부의 편재가 더 심각한 문제임을 드러냈다.
이밖에 현재도 논란이 많은「성장」과「분배」중 어느 쪽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하느냐는 문제는「경제규모확대」(41·9%) 보다는「소득분배 정책에 더 신경 써야 한다」(50·9%)는 의견이 다소 우세해 정치·사회 민주화와 함께 국민들의 관심이 그동안 성장일변도에 대한 반성으로 불균형시정에 더 쏠려있음을 반증했다.
그러나 막상 세금을 더 내고라도 복지수준을 높여야한다는 물음에는「찬성」(49·1%) 「반대」(49·9%)가 거의 비슷해 의견이 양립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성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