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21 중앙 ESG 경영대상] “기업 가치 높이는 ESG 핵심은 점수 아닌 지속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ESG 점수에 집착하지 말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이란 큰 틀에서 ESG 경영을 추진해야 한다.’ 2021 중앙 ESG 경영대상을 주최한 본지가 30일 ‘기업과 사회의 공존, ESG 경영의 선결 과제’란 주제로 연 콘퍼런스에서 나온 결론이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 분야별 전문가의 맞춤 처방이 이뤄졌고, 이를 관통하는 핵심 단어는 다름아닌 기업의 지속가능성이었다.

중앙 ESG 경영대상 콘퍼런스 #환경·기후변화 전략, 조직문화 #분야별 전문가 맞춤 처방 이뤄져 #“포용문화로 세대·젠더 마찰 줄여야”

김종대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김종대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김종대 인하대 경영학과 교수(ESG 센터장)가 콘퍼런스의 첫 순서로 ‘환경 및 기후변화 전략 ESG에 대응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발표했다. 김 교수는 “환경 분야는 다행스럽게 답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어 E·S·G 중에서 비교적 명확하다. 계산기를 두들기면 전기차처럼 수익창출이 명확하다”며 “환경은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새로운 환경 비즈니스 모델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 교수는 “기업은 ESG 점수에 집착하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ESG 경영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ESG를 추구하는 목표는 결국 지속가능성으로 압축할 수 있다”며 “ESG는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요소일 뿐이고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건 결국 ESG 점수가 아닌 지속가능성”이라고 말했다.

이은형 국민대학교 경영대 학장

이은형 국민대학교 경영대 학장

사회 분야 발제자로 나선 이은형 국민대 경영대학장은 “세대와 젠더 간 마찰비용”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포용성·다양성의 조직문화’를 주제의 발표문을 통해서다. 이 학장은 “MZ세대가 주도한 SK하이닉스와 현대차 사례에서 보듯 국내 기업에서 세대 간 마찰비용이 급증하고 있다”며  “쿠팡 물류센터 화재와 이어진 고객 탈퇴는 기업의 포용성과 다양성을 상기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 내 의사 결정에서 소외된 여성 등 젠더 이슈도 떠오르는 사회적 이슈라고 지적했다. 이 학장은 “마찰비용을 줄이기 위해선 포용적 조직문화가 필요하다”며 “이런 문화는 배려나 도덕적 당위가 아니라 전략적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업 내 다양성이 곧바로 재무적 성과로 연결되는 건 아니지만 상관관계는 상당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말했다. 한물간 평가를 받았던 구찌는 밀레니얼 세대가 중심이 된 보이지 않는 커미티(shadow committee)를 통해 새롭게 도약하는 기회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교수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교수

이지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학원 교수는 ‘ESG 경영 시대의 이사회 선진화 방안’을 설명했다. 이 교수는 “ESG라는 시대적 흐름이 기업 이사회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사회 선진화를 통해 ESG 경영 시대를 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G(거버넌스)는 E·S와 비교해 특정 산업이나 기업에 연동되지 않고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속성이 있다고 봤다. 이 교수는 “사외이사는 전문성의 한계로 경영진에게 사업적 결정이나 기술적 문제에 관해 얘기하긴 어렵지만 E(환경)와 S(사회)에 대해서는 다르다”며 “이 분야는 이사회를 통해 충분히 개선할 수 있고 사외이사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사회가 최고경영자 등을 감시하는 주체가 아닌 기업가치를 함께 높이는 초(超) 경영진으로 변신해야 한다며 ‘가치창출형 이사회 모델’을 제시했다. ESG를 계기로 이사회와 경영진의 관계를 재정립해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이사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이사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는 ‘공적 연기금의 ESG 투자’를 주제로 발표했다. 류 대표는 “세계적으로 공적 연기금의 ESG 투자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인 사례도 내놨다. 노르웨이 정부연기금(GPFG)은 ESG 이슈별로 기업에 기대하는 점을 문서로 정리해 발표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CalPERS)은 기업의 지배구조와 환경 리스크, 인적자원관리 등 책임투자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류 대표는 국내 기업의 ESG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민연금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에서 장기투자가 가능한 건 국민연금”이라며 “국민연금의 ESG 투자는 ESG 생태계 발전의 핵심적인 견인력(key driver)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