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 접종에 관한 FAQ

중앙일보

입력

동시 접종할 수 있는 백신과 동시 접종이 안되는 경우 접종 간격을 알고 싶습니다.

2가지 이상의 불활성화 사백신이나 또는 사백신과 생백신을 접종할 때에는 접종 간격이 필요치 않으나 생백신의 경우 동시 접종에 대하여 충분한 연구가 되지 않은 2가지 이상의 생백신을 접종할 때에는 상호 항체 형성 면역능력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상반응의 발생 여부를 충분히 관찰하기 위하여 4주간의 간격을 두고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MMR 백신과 수두 백신은 동시 접종할 수 있습니다. 경구용 폴리오 백신은 MR 백신도 동시 접종할 수 있습니다.

예방 접종 후 마사지를 하는 것이 더 좋은지요?

일반적으로 근육주사 후 약물의 흡수를 위하여 주사 부위를 마사지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생각되지만 예방 접종 후 마사지가 면역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습니다.

그러나 DTwP(전세포 DTP) 백신의 경우에는 접종 후 마사지를 하는 것이 국소 통증과 발열의 빈도는 높았으나 면역원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기가 감기가 걸린 경우에는 예방 접종을 미루어야 하나요?

열이 없는 가벼운 감기의 경우 접중을 미룰 필요가 없습니다. 단, 심한 급성 장염을 앓고 있거나 호흡 곤란 등을 보일 때, 고열(체온 38.5℃ 이상)이 있을 때에는 연기합니다.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는 언제부터 예방 접종을 하여야 하나요?

미숙아를 포함하여 출생시 체중이 적은 모든 신생아도 다른 정상 신생아와 마찬가지로 출생 후 월령에 띠라 접종 히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분만 예정일이 5월 1일이나 재태연령 34주인 3월 18일에 태어난 미숙아라도 특별히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가 없다면(인공 호흡을 하고 있는 등) 생후 1개월 이내인 4월 18일 이전에 BCG 접종을 시작으로 5월 18일에 DTaP(개량 UP), 폴리오 백신 등의 예방 접종을 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생후 2개월이 지나도록 신생아실에 입원하고 있는 상태라면, Map 백신은 생후2개월에, 폴리오 백신은 퇴원 시에 접종하도록 합니다. 단, B형 간염 백신의 경우에는 출생 체중이 2kg 미만인 미숙0loll서는 체중이 2kg 이상이 되거나, 생후 2개월까지 기다렸다가 다른 백신과 함께 접종하도록 합니다.

고열 등으로 예방 접종을 연기한 경우에 언제 접종하여야 하나요?

증상이 경하고 이전에 건강한 소아의 경우에는 2~3일간 관찰하여 열이 없으면 접종 합니다.

중이염으로 항생제를 먹고 있는데 예방 접종을 미루어야 하나요?

항생제 복용과 예방 접종은 관계가 없습니다. 중이염이 심하여 통증과 열이 있는 경우에는 연기히는 것이 좋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