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기세와 응징의 초반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8강전〉 ○·신진서 9단 ●·스웨 9단

장면 2

장면 2

장면 ②=초반 전략은 다양하다. AI는 수많은 방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인간의 선택은 역시 ‘기세’ 쪽이다. 인간에겐 같은 값이면 기세가 살아있는 쪽을 선택하는 게 힘도 나고 기분도 좋다. 신진서 9단의 백1은 상대가 손 뺀 곳을 응징하는 의미가 있고 스웨 9단의 흑2는 A의 약점을 지적하고 있다. 물론 AI는 이 약점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가르쳐준 적이 있다. 그래서 백3으로 기세 넘치는 수를 두어간다. 흑4도 기세에 기세로 맞서는 수. 쌍방 자기 진영을 최대한 확장하며 다가올 결전에 대비한다.

AI의 참고도

AI의 참고도

◆AI의 참고도=AI는 꽤 타협적인 수를 제시한다. 백1,3으로 일단 약점을 커버한 뒤 흑이 4로 지키면 5로 공격하라고 한다. 박영훈 9단은 “좋은 수순이긴 한데 인간은 흑A의 움직임을 놔둔 상태에서 이렇게 두기가 쉽지 않다”고 말한다.

실전진행

실전진행

◆실전진행=실전에선 우하 쪽의 절충이 끝나자마자 흑5가 등장했다. 이곳은 손 뺀 곳을 응징하려는 공격의 급소이고 근거의 급소다(백도 A로 연결하는 대신 이곳을 두는 경우가 많다).흑5가 놓이자 A의 약점이 좀 더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다.

박치문 바둑 칼럼니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