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언택트' 여파…지난해 유통 매출 온라인 비중 절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온라인 쇼핑 이미지. 픽사베이

온라인 쇼핑 이미지. 픽사베이

주말마다 대형마트에서 장 보는 게 취미였던 직장인 김현민(38)씨는 지난해 습관이 확 바뀌었다. 직접 마트에 가는 대신 온라인 쇼핑을 늘리면서다. 특히 먹거리나 공산품은 온라인에서만 사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 술처럼 온라인에서 구할 수 없는 품목을 살 때만 편의점에 가는 정도였다. 김씨는 “막상 해보니 온라인 쇼핑이 편해서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온라인 소비가 유통 업계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육박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편의점 매출을 더한 것과 비슷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언택트(비대면)’ 소비가 급증한 여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8일 발표한 ‘2020년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쿠팡ㆍ위메프ㆍ티콘ㆍ11번가ㆍ인터파크ㆍG마켓ㆍ옥션ㆍ이마트몰ㆍ신세계몰ㆍ롯데온 같은 온라인 업체 매출이 유통업계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5%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5.3%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대형마트ㆍ백화점ㆍ기업형 슈퍼마켓(SSM) 같은 오프라인 업체 매출 비중은 58.8%→53.5%로 줄었다.

폭증하는 온라인 매출.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폭증하는 온라인 매출.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온라인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18.4% 늘었다. 반면 오프라인 매출은 3.6% 줄었다. 구체적으로 이마트ㆍ홈플러스ㆍ롯데마트 같은 대형마트는 3%, 롯데ㆍ현대ㆍ신세계백화점 같은 백화점은 9.9%, 롯데슈퍼ㆍ홈플러스 익스프레스 같은 SSM은 4.8%씩 각각 매출이 줄었다. 오프라인 업체 중에선 근거리 소비, 소량 구매 추세로 선방한 씨유ㆍGS25ㆍ세븐일레븐 같은 편의점 매출만 2.4%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높였던 2ㆍ8ㆍ12월에 온라인 매출이 각각 34.3%, 20.1%, 27.2% 폭증했다. 김호성 산업부 유통물류과장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하면서 외출을 자제하고 다중이용시설을 기피한 영향을 받았다”며 “즉시성ㆍ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문화와 온라인ㆍ비대면 소비가 확산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상품군별로는 ‘집콕’ 시간이 늘어난 영향으로 생활가전ㆍ문화(1.5%포인트), 식품(1.2%포인트)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었다. 반면 외부 활동의 영향을 받는 패션ㆍ잡화(-2.5%포인트), 아동ㆍ스포츠(-0.3%포인트) 품목 매출 비중은 줄었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