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집단격리 요양병원서 한달 사망자 99명 나오자 "긴급대응팀 파견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30일 서울 구로구 한 요양병원에서 레벨D 방호복을 입은 병원 관계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30일 서울 구로구 한 요양병원에서 레벨D 방호복을 입은 병원 관계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요양병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과 사망자가 속출하자 방역 당국이 요양병원 종사자에 대한 유전자증폭(PCR) 검사 주기를 1주일로 단축하고 요양병원에 지자체 공무원을 1대1로 매칭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3일 발표한 '요양병원 긴급의료 대응체계’에 따르면 전국 요양병원 종사자에 대한 PCR 검사주기가 모두 1주로 단축된다. 기존에는 수도권이 1주, 비수도권이 2주 간격이었다.

결혼식이나 장례식장에 참석하는 등 고위험군을 만나거나 고위험 지역에 다녀온 종사자의 경우 신속항원검사를 한 후 업무에 투입한다. 또 요양병원마다 전담 지자체 공무원을 1대1로 지정해 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매일 확인키로 했다. 확진자가 발생하면 시·도 방역담당관을 추가 지정해 밀착 관리에 들어간다.

이런 대책은 최근 광주 효정요양병원과 서울 구로 미소들요양병원 등 요양병원에 집단 감염이 잇따라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동일집단(코호트) 격리된 요양병원 14곳에서 확진자가 996명, 사망자는 99명이 나왔다. 코호트 격리는 1인 1실 입원이 불가능한 상황일 때 확진자와 비확진자를 나눠 동일한 집단을 묶어 격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요양병원의 경우 집단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오히려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중대본은 요양병원에서 확진자와 사망자가 쏟아진데 대해 "상당수의 요양병원 병상이 6~7인실이면서 과밀하고, 대부분 와상환자(거동이 불편한 환자)이면서 기저질환이 있는 요양병원의 특징 때문"이라면서 "그간 요양병원 집단감염 사례를 살쳐보며 주로 종사자를 통해 감염이 시작됐다. 동일집단 격리 중 감염 관리가 미흡했고 적시에 의료자원과 병상이 충분히 지원되지 않은 점이 상황을 악화시킨 주 원인으로 파악됐다"라고 밝혔다. 방역당국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피해가 커졌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이에 방역 당국은 동일집단 격리방식을 전면 개선키로 했다. 요양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할 때 확진자나 비확진자 둘 중 한 집단은 모두 외부로 전원시키는 방식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요양병원의 감염이 확산한 데는 확진자와 비확진자를 같은 장소에 놔두면서 방역관리가 체계적으로 안 됐던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그래서 아예 원천적으로 한 그룹을 밖으로 빼는 작업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요양병원에서 집단 감염이 확인될 경우 중수본과 중앙방역대책본부, 국립중앙의료원, 전문가 등으로 긴급현장대응팀을 꾸리고 이들을 즉시 파견한다. 이들 팀은 상황평가, 격리·전원계획 마련, 인적·물적 지원 등 초기 대응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정부는 전원에 필요한 병상·인력 등 자원 확보를 위해 시도별로 일반 요양병원과 전담 요양병원을 지정하도록 하고, 환자 전원을 받은 병원에 대해서는 건강보험 또는 손실보상을 통해 지원하기로 했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