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노영민 "집회주동자, 7명 죽인 살인자" 다음날…보건당국 "12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보건 당국이 지난 8월 15일 열린 광복절 집회 관련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현재까지 12명이 숨졌다고 공개했다. 4일 국회 운영위 국정감사에서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이 광복절 집회와 관련, "사람이 7명 이상 죽었다. 집회 주동자들은 살인자"라고 말했고, 보건 당국이 5일 사망자 숫자를 정정해서 공개한 것이다.

사망자 중 집회 참석자 4명, 8명은 추가 전파로 감염돼 사망

곽진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환자관리팀장은 5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한 사망자가 “현재까지 총 12명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곽 팀장은 "1차 감염(집회 참석자)으로 분류되는 사람이 4명, 그 이후 추가 전파자(n차 감염)로 확진되어 사망에 이른 사람이 8명"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정부 및 여당 규탄 관련 집회에서 사랑제일교회 전광훈 목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8월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정부 및 여당 규탄 관련 집회에서 사랑제일교회 전광훈 목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이들은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사랑제일교회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곽 팀장은 “추가 전파로 감염돼 사망한 8명 가운데 지금까지 사랑제일교회와 관련성이 확인된 바는 없다”며 “사랑제일교회와 관련된 사망자 중 집회 참가자 유무는 추가로 확인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그간 방대본은 집단감염의 원인이 된 장소 및 모임 등을 알리고 관련한 확진자 수를 공개해왔지만, 특정 감염 관련한 사망자에 대해 이처럼 언론에 밝힌 적은 많지 않다. 전날(4일)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의 발언과 관련한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란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질병청 관계자는 “앞서 교회와 방문판매 관련 집단감염 사망자 통계도 공개한 적 있다”며 “(광화문 집회 사망자 관련) 질의가 들어와 답변하는 과정에서 최신 통계를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4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노 실장은 “광화문 집회에서만 확진자가 600명 이상 나왔다. 사람이 7명 이상 죽었다. 집회 주동자들은 살인자”라고 발언해 논란이 일었다. 이 숫자는 지난 9월까지의 집계치로 최근 추가된 사망자를 반영하면 모두 12명이라는 게 방대본 측 설명이다.

현재까지 광화문 집회 관련한 확진자는 서울 142명, 경기 134명, 대구 103명 등 전국서 누적 650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충남, 위험 수준 높아”

한편 5일 0시 기준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빈소 취재진과 관련한 환자는 누적 7명으로 늘었다. 지표 환자를 포함한 동료 3명과 접촉자 1명, 이들의 가족 2명 및 지인 1명이다.

관련기사

다만 이들은 이건희 회장 빈소 관련 감염자는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곽진 팀장은 “현재까지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관련된 확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접촉자 1명은 서울시 출입기자로서 접촉이 있던 분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5일 오전 충남 천안과 아산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 21명이 집단으로 발생한 신한카드 신한생명 천안콜센터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

5일 오전 충남 천안과 아산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 21명이 집단으로 발생한 신한카드 신한생명 천안콜센터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수도권 이외 지역에선 충청권의 집단감염 규모가 커지고 있다. 충남 천안시 콜센터 감염자는 지난 4일 이후 20명 추가돼 21명으로 증가했다. 아산 일가족 결혼식 모임 관련해서도 지난 3일 첫 확진 이후 9명이 추가돼 총 10명이 확진됐다.

이상원 방대본 위기대응분석관은 “충남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환자 발생의 숫자도 많고 집단발생 건수도 늘었다. 위험의 수준이 높은 상황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질병청 지역대응센터에서 역학조사관을 파견하고 대응 조치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 분석관은 “기온 저하로 실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밀폐된 실내 환경 등의 영향으로 일상생활 감염 위험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