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탕이 달라졌다…땀내고 먹고 자고 모임까지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 일산에 사는 김영순씨(43)는 몸이 찌부둥하면 동네 주부들과 어울려 찜질방을 찾는다.담소를 즐기며 사우나도 하고,원적외선 게르마늄으로 만들었다는 불가마 앞에서 한바탕 땀을 흘리는 일을 반복하면 온몸의 피로가 쫙 풀리는 듯 하단다.

“점심 때 식당에서 찹쌀 옹심이가 들어간 미역국을 먹고 입가심으로 식혜를 먹고 나면 그 개운함은 이루 말할 수 없죠.찜질방은 제가 유일하게 누리는 사치인 셈입니다.”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여성 김지영(32·인천 연수동)씨는 해수탕 예찬론자.“목욕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지만 최근 목욕의 즐거움에 푹 빠졌다”며 “서울서 친구들이 오면 먼저 해수탕부터 찾는다”고 말했다.

이태리 타월과 고무 바가지로 대변되는 동네 목욕탕은 요즘 찾아보기 어려워졌다.대신 고급화·대형화된 목욕탕과 찜질방·한증막 등이 각 동네마다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주차장은 물론이고 안에 식당과 헬스·사우나를 함께 갖추는 것은 기본.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탕을 갖추고 있는가도 목욕탕의 수준을 가늠케 하는 중요한 요소다.증기탕·머드탕·한약탕·옥돌탕·소금탕 등 이름도 가지가지다.‘00불가마’를 비롯한 찜질방도 이런 다양한 목욕 문화의 하나다.게르마늄·맥반석·원적외선·옥 등 몸에 좋다는 것들로 만들어진 불가마 찜질을 즐기는 사람들이 적잖기 때문이다.

목욕탕이나 찜질방은 이제 현대인의 새로운 휴식 공간이 됐다.가족이나 단체 모임의 장소로,그리고 병원·식당·전통 찻집·건강상담소,때로는 여관의 역할까지도 대신한다.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복합공간인 셈이다.

저녁 시간 서울 반포의 ‘해모수 불가마’에서는 퇴근길의 샐러리맨은 물론 근처 상가 직원들이 즐겨찾는 곳으로 유명하다.퇴근 후 이곳을 가끔 찾는다는 직장인 박인철(35·서울잠원동)씨는 “가격이 비싸 조금 부담스럽기는 하지만 사우나와 불가마를 하고 온돌바닥에서 자고 나면 피곤이 확 풀린다”고 말한다.

인터넷 마케팅 업체인 에브리존은 지난해 송년회를 찜질방에서 가졌다.술로 지새는 보통의 망년회에 비해 훨씬 따뜻하고 서로를 잘 알 수 있게 하는 자리였다는 평가다.

동창 모임은 훨씬 흔한 일이다.주부 권형순씨(42·서울반포동)는 여고 동창생들과 지난달 모임 장소로 찜질방을 선택했다.아침에 모여 점심 먹고 사우나하고 차 마시며 실컷 수다를 떨다가 저녁이 다 돼서야 헤어졌다.

건강 때문에 찜질방을 찾는 사람들은 아예 열성파가 된다.71세의 이씨 할머니는 “몇년 동안 병원과 한약방을 다녀도 낫지 않던 무릎이 찜질방의 맥반석 불가마 때문에 좋아졌다”며 일주일에 두 번 정도는 찜질방을 찾는다.

이런 새로운 풍경을 이끌어낸 것은 시설과 서비스의 변화가 한 몫을 했다.남녀 가리지 않고 티셔츠·반바지를 입고 공동 휴게실에서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도 새로운 목욕 문화다.

최근에는 부부싸움을 한 주부들이 찜질방을 찾기도 한다.최근 찜질방을 찾았던 박복남(51·서울 청담동)주부는 “아예 아이까지 데리고 나와 3일째 기거를 하는 주부를 봤다”고 말했다.

그러나 잦은 찜질방은 한번 가는데 5천∼1만원하는 비용 때문에 가계부에 적잖은 부담이 된다.하루라도 찜질방을 빠지면 허전하다는 주부 이정숙씨(53씨·일산시)는 “다섯장·열 장씩 쿠폰을 한꺼번에 구입하면 할인을 받지만,찜질방을 계속 갈 수도,안 갈 수도 없어 문제”라고 말했다.

또 이런 고급·대형화에 밀려 소규모 영세 목욕탕이 고전하거나 퇴출당하는 것도 새로운 풍속도.N맥반석에 근무하는 회사원 김씨는 “대형 자본으로 헬스와 사우나·찜질방 등 고급화된 복합공간은 번성하고,대신 수많은 영세 사업자들은 계속 문을 닫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