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각차단이란?

중앙일보

입력

Q : 얼마전 건강진단을 받았는데 "좌각차단"
(심전도 검사결과)과 1차소견 및 조치사항에 "심장질환의심"이란 말이 적혀 있어 궁금합니다. 아버님은 제가 美유학시절 심장기능부작용으로 심장 BYPASS수술을 하신적('95.12월)이 있고 그후 휴유증 또는 부작용은 없으시고 체중도 수술전대비 90%수준으로 회복하였음. 부산대학병원에서 심전도 검사를 수시로 하시며 거기서PRESCRIPTION해준 약을 복용(혈액순환을 돕고 심장기능이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고 함). 금연하신지 15년됨.가벼운 활동을 하심.

A : 심전도상 좌각차단(Left Bundle Branch Block, LBBB)는 abnormal finding입니다. 그러나 아버님이 우회술을 받은 것을 고려하면 크게 걱정하실 필요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심장기능부작용이 아니라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증)으로 수술을 받으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술후 예후는 bypass 받은 관상동맥의 갯수, 이용한 혈관의 종류, 좌심실의 펌프기능,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의 유무 등이 관련됩니다. 특히 다리정맥을 이용한 bypass 수술을 받는 경우는 약 10년 정도 경과하게되면 재협착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산대학병원에서 추적 검사 및 치료를 받으신 다면 크게 염려할 필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정욱성교수 자문>

A : 진단받으신 것은 현재 계속 심전도 검사를 하던 병원에서 받은 것이 아닌지요. 만약 해당병원에서 계속 심전도를 하던 중 이러한 소견이 갑자기 나타났다면 아마도 이부분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는 과정이 있어야 하리라 봅니다.
그것이 아니고 지속적으로 이러한 소견이 심전도상에 보였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특별한 처치가 없이 계속적으로정기적인 점검을 받는 것으로 지내셔도 됩니다.

최우녕님이 말씀하신 좌각차단이란 의학용어로 Left bundle branch block 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 진단은 심장박동수를 조절하는 체계에 문제가 생겼음을 의미하는 것이죠. 그러나 이것이 우리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의 심장은 전기적 자극이 상단에서 부터 하단까지 전달되어 심장이 움직이게 되는데 여기서 상부에서 시작된 전기적 충동이 양심장에 위치한 bundle을 통하여 좌우심장으로 전기자극이 전달되어집니다. 그런데 이 bundle 이 손상되거나 정상적으로 형성이 안되어있으면 자연 전기자극이 전달이 느려지는 것이죠. 물론 다른 루트를 찾기는하지만 대체로 그것도 느린 편입니다.

그러나 위에서 말했듯이 left bundle branch block 그 자체로는 증상이 거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단지 심전도에서 발견이 되어서 있음을 아는 정도입니다.
따라서 오랜시간 이 문제를 갖고 있었다면 큰 문제는 없으나 새롭게 발견되었다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를 해보아야합니다.
예를 들면 심근이 약해져있거나 관상동맥에 병변이 있음으로서이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최우녕님의 아버님의 경우는 다니시는 병원이 있으시니 현재의 주치의와 이 문제에 대해 상의해보시길 바랍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