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5억” 간송 불상 경매 유찰…중앙박물관 품으로 갈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27일 경매에 나온 간송미술관 소장 보물 285호 금동보살입상(왼쪽)과 보물 284호 금동여래입상. [연합뉴스]

27일 경매에 나온 간송미술관 소장 보물 285호 금동보살입상(왼쪽)과 보물 284호 금동여래입상. [연합뉴스]

“경매 시작가는 15억원입니다. 15억원, 15억원···없습니까?”

케이옥션 2점 각 15억서 경매 시작 #응찰 한 명도 없어 새 주인 못 찾아 #중앙박물관 유물 구입 예산 빠듯 #후원 민간단체서 “비용 보태겠다”

27일 오후 5시 57분,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 경매장. 손이천 수석경매사가 ‘특별 경매’에 나온 두 금동불상의 새 주인을 찾았다. 그러나 현장에서도, 전화로도 응찰한 사람은 없었다. 잠시 정적 끝에 손 경매사가 망치를 내려쳤다. “유찰입니다.”

간송 전형필(1906~1962)의 후손이 내놓은 보물 제284호 금동여래입상과 제285호 금동보살입상이 이날 각각 시작가 15억원으로 경매에 부쳐졌으나, 새 주인을 만나지 못했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해온 국가지정문화재가 공개 경매에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세간의 관심이 집중된 터였다. 문화재계는 이번에 유찰된 두 불상이 결국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지난 21일 간송미술관이 재정난 때문에 금동불상 2점을 경매에 내놓았다고 알려지자, 간송 전형필이 일제강점기에 재산을 바쳐 모아온 우리 문화재를 지켜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이 불상 구매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러나 박물관의 한 해 유물 구입 예산은 40억원 정도. 두 점의 경매 시작가만 해도 30억원이어서 박물관이 사들이기도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런데 이날 경매에 앞서 국립중앙박물관을 후원하는 순수 민간단체인 국립중앙박물관회(회장 신성수 고려산업 회장)가 박물관이 불상을 사들이겠다면 비용을 보태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국립중앙박물관이 유력한 새 주인으로 떠올랐다. 경매를 앞두고 국립중앙박물관과 케이옥션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면 경매 자체가 취소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그러나 케이옥션 관계자는 사전 협상설을 일축했다. 그는 “박물관과 협상 여부를 떠나 이미 공개시장에 나온 작품이기에 민간 유통 질서를 존중하기 위해 경매를 진행하기로 했다”며 “기타 있을지도 모르는 다른 응찰자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유찰 소식이 알려지자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유찰은 안타깝지만, 우리로선 시간을 벌었다고 생각한다”며 “국가 보물이고, 간송 선생의 뜻이 담긴 유물이 박물관에 소장됐으면 한다. 일단 유찰됐으니 협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왜 아무도 안 나섰을까.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워낙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은 경매품이라 누가 나서 낙찰을 받기에도 심리적으로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개인이 매입에 나서긴 쉽지 않아 보였다”는 것이다.

다음은 가격 문제다. 전문가들이 감정한 가격이지만, 일부 고미술상인들 사이에선 “가격이 너무 높게 책정됐다”는 의견도 없지 않았다. 인사동에서 고미술품을 거래하는 한 상인은 “가격도 논란이 됐지만, 현재 국내에서 불상 수집을 하는 개인은 없다고 봐야 한다”며 “여러모로 개인보다는 기관이 나서야 하는 경매품으로 보였다”고 했다.

이와 함께 한국 최고의 고미술 수집가인 삼성미술관리움(삼성문화재단)이 최근 새 소장품을 들이지 않고 있는 게, 이날 유찰 분위기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경매에 나온 두 금동불상은 모두 1963년에 보물로 지정됐다. 보물 제284호 금동여래입상은 8세기 통일신라 조각 양식을 대표하는 것으로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금동여래입상은 얼굴이 선명하게 투각된 팔각 연화대좌(대좌: 불상을 올려놓는 대)위에 정면을 보고 당당한 자세로 서 있다. 출토지는 알 수 없으나, 높이 38㎝는 우리나라에서 동 시기에 제작된 금동불상으로서는 드물게 큰 경우다.

제285호 금동보살입상은 높이 19㎝로, 신라 지역(거창)에서 출토된 유일한 불상으로 꼽힌다. 보살이 손을 앞으로 모아 보주를 받들어 올린 모습과 양옆으로 뻗은 지느러미 같은 옷자락의 모습이 눈길을 끈다. 7세기 것으로 알려진 일본 호류사의 구세관음(救世觀音)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문화재가 경매에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5년 서울옥션 경매에서 보물 제1210호 청량산괘불탱이 35억2000만원에 개인에게 팔렸고, 2012년 케이옥션에선 보물 제585호 서화첩 ‘퇴우이선생진적첩’이 34억 원에 낙찰된 바 있다.

이은주·강혜란 기자 ju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