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으로 새 출발했다더니 '정대협' 왜 남아있나

중앙일보

입력

회계 투명성 논란에 휩싸인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기자회견을 연 11일 서울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의 모습. 연합뉴스

회계 투명성 논란에 휩싸인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기자회견을 연 11일 서울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의 모습. 연합뉴스

“1990년 발족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2016년 설립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과 2018년 7월 11일 통합하여 현재는 정의기억연대가 됐습니다”

최근 기부금 회계 투명성 논란이 제기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문구다.

그러나 홈페이지상 소개와 달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아직 별도 법인으로 존재하고 있다. 정대협이 별도로 해산 공시를 하지 않은 것이다. 정대협은 정의연과 별도로 매년 기부금 지출 내역을 국세청에 공시하고 있다. 두 곳은 모두 기부금을 내면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지정기부금 단체다.

두 곳은 관리감독 기관도 다르다. 정의연은 국가인권위원회 소관이지만 정대협은 1990년 출범 당시부터 외교부의 관리 감독을 받아왔다.

정대협은 1000회 넘게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기수요시위를 개최해온 국내 대표적인 위안부 문제 관련 시민단체다. 정의기억재단은 정대협을 비롯한 시민단체들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화를 촉구하기 위해 이듬해 만들어졌다.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이 2018년 통합 출범한 정의연의 초대 이사장이 당시 정대협 상임대표였던 현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이다.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12일 오전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별도로 두 법인이 존재하는 이유와 관련해 “내용과 사업을 모두 합쳤다”면서도 “아직 법적·행정적인 절차를 완수하지 못했고, 나중에 박물관 법인화 문제가 있어서 정대협은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국세청 공익법인 공시사이트의 정대협의 주소지는 정의연과 동일(서울시 마포구 소재)하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