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A형, 亞 B형, 유럽 C형···코로나 3번 변이돼 전세계 확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초기 진화 경로. 사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초기 진화 경로. 사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3가지 유형의 변이를 일으키며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피터 포스터 유전학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3가지 다른 유형으로 변이를 일으키며 중국 우한으로부터 아시아, 북미, 유럽, 호주로 번져나갔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고 영국 일간 더 선(The Sun) 인터넷판이 지난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24일부터 올해 3월 4일 사이 세계 곳곳의 코로나19 감염 환자 160명에게서 채취한 바이러스의 완전한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자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수학적 네트워크 알고리즘(mathematical network algorism)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초기 진화 경로도 재구성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와 가장 가까운 유형인 A형은 중국 우한의 박쥐와 천산갑에서 발견됐다. 하지만 A형은 우한에서 두드러진 유형이 아니었다. A형은 우한에서 살았던 미국인들에게서 발견됐지만 미국과 호주 지역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났다.

A형에서 변이된 B형은 중국 우한에서 크게 유행했으며 동아시아 지역 환자에서만 발견됐다. B형이 변화한 C형은 이탈리아, 프랑스, 스웨덴, 영국 등 유럽의 초기 환자들에게서 찾을 수 있었다. C형은 중국 본토에서 나온 샘플에는 없었지만 한국, 싱가포르, 홍콩에서도 발견됐다.

이탈리아의 경우 지난 1월 27일 독일에서 발생한 첫 환자를 통해 초기 감염이 전파됐다. 이탈리아의 초기 전파 경로는 싱가포르의 '집단 감염'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최신호에 실렸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