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 농산물 ´안전성 논쟁´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두부조림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두 아들을 둔 조미경(35) 주부. 지난달부터 첫 딸의 이유식으로 두유를 먹이기 시작한 새댁 최정희(29) 씨. 두 사람은 요즘 고민스럽다.

두부와 콩으로 만든 식품을 가족들에게 먹여도 괜찮은지 몰라서다.

회사원 이홍규(42) 씨도 퇴근 후 한잔 하러 들리곤 하던 두부전골집에서 반대편 다른 식당으로 발길을 옮겼다.

최근 우리의 식탁에 자주 오르는 두부의 82%가 미국에서 수입된 유전자조작(GMO) 콩으로 만들어졌다는 한국소비자보호원의 발표로 소비자들이 불안해 하고 있는 것이다.

◇ 유전자조작농산물(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약칭GMO) 이란〓유전자 변형농산물.유전자 재조합농산물 등으로도 불린다.지난 95년 미국의 몬산토(Monsanto) 사가 처음으로 콩을 상품화하는데 성공했다.

콩의 유전자를 조작해 병충해에 대한 면역성 등을 높여 수확량을 크게 늘린 것. 당시 지구촌을 배고픔에서 해방할 ´제2의 녹색혁명´ 으로 크게 환영받았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유통되는 GMO는 50여 품목. 우리 나라에서는 수입의존도가 높은 콩.옥수수.감자 등 39개 품목이 각종 가공식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내 수요량의 91%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콩의 경우 두부는 물론 콩나물.간장.된장.두유.콩라면.이유식 등에 쓰인다. 옥수수는 옥배유, 감자는 감자 스낵을 만드는데 필수원료이다.

◇ 안전성 논란〓지난해 영국의 한 학자가 "유전자가 조작된 감자로 먹고 자란 쥐는 면역체제가 약하고 장기가 손상됐다" 는 연구 발표를 하면서 유럽과 미국간의 안전성 논란이 본격화됐다.

이 발표 후 유럽 13개국 과학자들은 "GMO가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의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 고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나 미국식품의약국(FDA) 측은 "유전자 변형기술은 지난 50년부터 시작된 육종교배와 크게 다를게 없다" 며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면 미국인도 먹는 음식에 GMO를 허가했겠느냐" 고 반문하고 있다.

이런 안전성 논란은 미국산 농산물의 수입으로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는 유럽지역 농민들의 반발이 겹치면서 더욱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국내 생명공학 전문가들은 ´GMO가 안전하지 않다´ 는 유럽측 주장에 대해 대체로 고개를 가로 젓는다.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 이철호(55) 교수는 "벼나 돼지.소 등 먹거리 동.식물 중 유전적으로 자연 상태인 것은 하나도 없다" 며 "GMO라고 해서 기존의 먹거리들과 크게 다를 것은 없다" 고 말했다.

예컨대 벼의 경우 유전적 변화가 계속되는 가운데 인간이 우수한 품종을 선택해 발전시켜왔다는 것.

李교수는 "우수 품종을 고르는 작업이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것 밖에 차이가 없다" 며 "유전자조작이란 용어보다는 ´분자육종´ 으로 이해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 덧붙였다.

생명공학연구소의 한 관계자도 "먹거리에 대한 안전성은 결코 무시될 수 없는 일" 이라면서도 "GMO의 경우 설사 예상치 못한 알레르기 등이 일어난다 해도 농약을 쓰는 기존 기술보다는 훨씬 안전한 방법" 이라고 주장했다.

◇ 국내외 움직임〓미국은 물론 유럽연합에서도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식탁에 올려도 될지 안될지를 가늠하는 것은 미루고 있는 실정.

유럽연합은 소비자.환경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여 이미 지난해 9월부터 유전자조작 농산물과 이를 원료로 한 가공식품에 표시를 의무화했다.

일본도 대두.옥수수 등 10개 품목을 지정해 2001년4월부터 표시하기로 결정했다.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종주국인 미국에서도 최근 소비자단체들이 식품에 대한 유전자조작 원료의 사용여부를 명시해 줄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소비자.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이미 여러 차례 GMO에 대한 안전성 문제 제기가 있었으나 정부에서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YMCA 시민중계실 서영경팀장(36) 은 "이번 논쟁으로 뒤늦게 식품의약품안전청이 GMO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며 "GMO안전성 논란에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한다면 GMO 함유 여부를 알고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제도라도 도입해줄 것" 을 요구했다.

유지상.김창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