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셋째, 넷째 발가락의 변형

중앙일보

입력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작은 발가락에 생기는 변형에는 발가락의 모양에 따라 망치모양의 발가락, 갈퀴모양의 발가락, 추모양의 발가락으로 나뉘고, 이외에도 다른 발가락 위로 올라타는 변형, 뒤틀리는 변형, 엄지발가락 쪽으로 기울어지는 변형, 새끼발가락 쪽으로 기울어지는 변형 등 아주 다양합니다.

[발가락 변형의 원인]
① 선천적
② 후천적:근육의 불균형, 골절 후유증, 관절염, 부적절한 신발

이같이 발가락의 모양이 변하는 이유는 크게 태어날 때부터 생긴 것과 나중에 자라면서, 생활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나눌 수 있겠습니다. 발에서는 발목이나 발가락을 위로 젖히는 근육의 힘과 아래로 내리는 근육의 힘이 서로 잘 균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뇌성마비나 소아마비 환자의 경우, 혹은 신경이 끊어졌다, 힘줄이 끊어졌다 하는 경우에는 이런 근육 힘의 균형이 깨지게 되고 발모양이 마치 구두굽이 높은 신발을 신은 것처럼 변하게 되고, 발가락도 이런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발가락 뼈가 부러졌던 경우에도 이렇게 될 수 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여러 관절 질환에서도 이런 변형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구두굽이 높은 신발과 자신의 볼에 비해서 좁고 뾰족한 구두를 신었을 경우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변형이 생겼을 때 문제가 되는 것은 발에 못이나 티눈이 박히는 것입니다. 이 못 박힌 것이 아파서 걷지를 못합니다.

굳은살처럼 피부껍질이 어느 한 부분에만 비정상적으로 자라나와서 두꺼워지는 것이 못입니다. 이러한 못은 뼈의 모양이 삐죽 튀어나온 부위에 생기고, 신발에 닿고 자주 마찰되는 부위에도 생기며, 딱딱한 바닥에서 오래 걸어다닐 때 생깁니다. 이 못의 중심부에는 아주 딱딱하고 아픈 부위가 있는데, 티눈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못은 발바닥 앞쪽 부위에 잘 생기며, 특히 둘째 발가락 뿌리부위에서 가장 많이 생기고, 둘째 발가락 위쪽으로 솟아오른 뼈마디에서도 잘 생깁니다.

걸어갈 때 발바닥의 어느 부위에 체중이 많이 실리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특수한 컴퓨터 장비를 이용하여 발바닥압력 측정을 합니다. 이런 환자들은 주로 둘째와 셋째 발가락 뿌리부위에 압력이 높은 수치로 나타나며, 이렇게 압력이 집중되는 부위에는 못이 잘 생깁니다.

정상적으로 발의 중간에는 발의 뼈들이 옆으로 둥근 굴다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를 발의 횡아치라고 합니다. 관절염이나 다른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이 아치가 무너지게 되면 정상적인 발에서는 압력을 받지 않던 이쪽 둘째, 셋째, 넷째 발가락 뿌리부위가 압력을 받게 되고, 발가락의 모양이 변하게 됩니다. 또 발의 중간에는 발의 뼈들이 앞뒤로도 길게 굴다리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를 발의 종아치라고 합니다. 어떤 원인으로 인해서 이 종아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마치 구두 굽이 높은 신발을 신은 형태가 되는데, 역시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발가락 변형이 생깁니다. 이런 경우에 발가락 뿌리부위에 뼈가 튀어나온 곳에, 발가락의 뼈가 위로 툭 튀어 올라가 있는 부위에서 못이 생기고 티눈이 생기게 됩니다.

못이 생겼을 때 치료하는 방법은 주기적으로 두터워진 각질을 깍아내거나 약품으로 녹일 수도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없습니다. 치료는 원인을 없애 주는 방향으로 해야 합니다. 발가락 뿌리부위에 못이 생긴 경우는 체중이 실리는 압력이 뿌리부위에 집중되기 때문에 생기니까, 압력을 다른 부위로 분산 시키면 됩니다.

발의 중간에 있는 횡아치가 무너져서 못이 생긴 경우에는 삼각형으로 생긴 패드를 둘째, 셋째, 넷째 발가락의 뿌리쪽 발의 중앙에 붙입니다. 이때 발가락뿌리 부위에 튀어나온 뼈에 닿아서는 안됩니다.
또한 발의 종아치가 너무 높아서 못이 생긴 경우에는 타원형으로 생긴 패드를 종아치 부위에 붙여 줍니다. 이런 패드는 신발 깔창에 붙이는 것이지 사람 발에 직접 붙이는 것은 아닙니다. 이 두 가지 패드의 기능은 체중을 분산시켜서 못이 생긴 부위에 압력이 적게 가게 해 주는 것입니다. 못이 더 커서 이 패드만으로는 효과가 없을 때 신발 깔창에 구멍을 뚫어 주어 치료합니다. 발가락에 못이 생긴 경우에는 구멍 뚫린 패드를 발가락에 직접 붙여서, 못이 생긴 부위가 구멍의 중앙에 오게 하여 못이 생긴 부위의 마찰을 없애 줍니다. 이런 환자들의 구두는 가죽이 부드러워야 하고 발가락이 들어가는 구두 앞쪽이 넓고 높아야 합니다.

정형외과에서 수술로 치료하는 법도 있습니다만, 못만 잘라내서는 효과가 없고, 튀어나온 뼈까지 편평하게 잘라내야만 효과가 좋습니다.
발가락이 정상인 사람의 발바닥압력을 컴퓨터장비로 측정하면 발가락이 다섯개가 전부 보입니다. 그러나 발가락이 변형된 사람은 발가락은 다섯 개가 있지만 발바닥압력 측정 검사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발가락의 모양이 변해서 바닥에 닿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검사에서는 발가락이 없는 것처럼 나타납니다. 발가락의 모양이 이상하다고 해서 전부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발가락 사이의 피부가 헐거나 발가락에 못이 박혀서 아프고 걷기가 힘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