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복지부 “올해 1~7월 극단 선택 사망자 8% 감소 추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급증한 자살률이 올해 들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사망신고 등 내부 자료 통해 기존 추세 돌아선 것 추정” #2011년부터 자살률 꾸준히 줄다 지난해 반짝↑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1회 국회자살예방대상 시상식에 참석해 “작년에 자살률이 조금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지만, 올해 여러 조치가 조금 효과를 나타내는지 (자살자 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추진된 고위험군 선별 등의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이 올해부터 정책적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1~7월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 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중앙포토]

보건복지부는 올해 1~7월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 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중앙포토]

지난 9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1만3670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1207명 늘었다. 인구 10만명당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를 뜻하는 자살률도 26.6명으로 전년보다 9.5%(2.3명) 증가했다. 당시 복지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정부는 지난해 자살률이 증가한 것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면서도 “유명인 극단 선택 사건이 다수 있어 모방 효과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그러나 올해 1~7월까지 누적된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600명대 내외(약 8%)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자살률 추이. 꾸준히 감소하다 지난해 다시 올랐다. [연합뉴스]

최근 자살률 추이. 꾸준히 감소하다 지난해 다시 올랐다. [연합뉴스]

장영진 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자살률은 1980년대 10명 안팎이었다가 90년대 말부터 빠르게 늘었다. 2011년 자살예방법이 제정된 이후로 감소세”라며 “올해 사망신고 등 내부 자료를 토대로 봤을 때 기존 추세로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장 과장은 “일본 등 다른 나라를 봐도 자살률이 한 번씩 줄었다가 늘고, 늘었다 줄어드는 기간이 있다”고 설명했다. 자살률은 2011년부터 전반적으로 하향 곡선을 그려왔지만 2013년과 2018년 증가한 바 있다. 극단적 선택은 다양한 제도적, 사회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두 가지의 요인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심리부검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1인당 평균 3.9개의 생애 스트레스 사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김강립 차관은 “현재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전수조사를 진행하면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과학적 접근으로 극단적 선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러한 성과들이 앞으로 밝은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거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올해 정확한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내년 1월부터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국가자살동향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황수연·정종훈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