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삶의 향기

추석을 망치는 대화의 기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추석이 끝난 후에는 ‘추석 명절 후 이혼 두 배로 늘어’, ‘가족 모임에서 주먹다짐이’ 같은 기사가 빠지지 않고 나온다. 그렇다 보니 으레 ‘따뜻한 대화 위한 7가지 원칙’ , ‘명절 스트레스 줄이는 대화법’ 같은 류의 특집도 명절 전에 나온다.

함께 즐거워야 할 추석명절이 #누군가에게 고역의 시간일수도 #혹시 나의 말 때문이라면?

그러나 평소에 하던 대로 해야지 괜히 어색하게 부드러운 말투로 공감의 리액션을 하며 기술을 구사해봤자 오히려 역효과가 나온다. 안 하던 걸 갑자기 하기 보다는 지금까지 숱하게 반복한, 남은 다 아는데 나만 몰랐던 자신의 추석 망치는 기술을 점검해보는게 낫겠다. 혹시 추석을 고의로 망치기 위해 아래의 기술을 새로이 활용해서는 안 될 일이다.

첫째, 가장 빈도 높게 사용되는 추석 망치는 기술은 ‘충고’다.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자신의 경험과 지식에 의거해 뭔가를 이야기하고 뿌듯해한다. 안타깝게도 이렇게 나오는 충고 대부분은 이미 모두가 알고 있는 뻔한 것이다.

특히 상대의 말을 충분히 안 듣고 처음 나오는 몇 마디만 듣고는 말 끊기 신공과 함께 충고 필살기를 구사할 때 효과가 더욱 커진다. 여기에 본인이 우월한 척하기 위해 사자성어나 고사성어를 덧붙이면 상대를 부끄럽게 만들고 위축시키니 추석을 망치고 싶다면 고려해 볼 만 하다.

둘째, 잘못된 위안이다. 물론 본인으로서는 좋은 뜻으로 하는 말이겠으나 현실에 근거한 적절한 위로여야 하는데, 무조건 “다 잘 될 거야. 염려 마” 하는건 무책임하다.

상대로서는 내 문제에 관심을 안 가지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다. “그거 원래 다 그래! 나도 그랬는데 아무것도 아니야!” 위로는커녕 자기 고민을 가볍게 여긴다는 느낌을 확실하게 줄 수 있다. 특히 약간 톤을 높여 건성으로 “그거 괜찮다고 했잖아”라고 하면 “이제 그런 말 좀 하지마”로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셋째, 꼬인 질문이다. “좀 성실하게 살아보려고 생각해 본 적 없니?” 이건 누가 들어도 지금 불성실하다고 비꼬는 거다. “이렇게 전을 잘 부치는 애가 평소에도 좀 하지 그러니?” 이런 비꼬는 질문은 전을 뒤집는 게 아니라 밥상을 뒤집게 만들 수 있다. 향후 추석에 얼굴 안 보고자 하는 목적이라면 비꼬는 질문이 효과적일 것이다.

넷째, 캐묻기다. 상대방이 답하기 곤란한 질문으로 취조함으로써 상처에 소금 닿는 고통을 느끼게 한다. “너 몇 등이나 하니? 어느 대학 갈 거니?”, 학교 졸업 후에는 “취업은 언제 할 거니?”, 취업 후에는 “결혼은 언제 할 거니?”, 결혼 후에는 “아이는 언제 낳을 거니?”, 출산 후에는 “둘째는 언제 낳을 거니?” 하는 식이다. 혹시 이런 끝없는 질문을 하며 타인의 곤혹스러움을 즐기고 있다면 본인에게 가학 성향이 있는 건 아닌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 외에도 수많은 기술이 있으나 다섯째로 혼자만 즐거운 개그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사실 아재 개그가 무슨 죄인가? 나누면서 즐거운 이들과 밤새 하면 아무 문제 없다. 문제는 듣기 싫어하는 사람들한테 끝없이 강요하는 데 있다. “자꾸 이런 말 해서 미안한데”라고 할 필요 없다. 미안하면 안하면 된다.

끝으로, 이번 추석에는 장관 임명에 대한 대화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다양한 정치적 견해가 불꽃 튀게 부딪힐 것이다. 흔히 명절에 정치 이야기를 하면 안 된다 하나 필자는 반대다. 정치 이야기를 해서 문제가 아니라 정치 이야기를 잘 나누지 못해서 문제인 거다.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으며 저런 관점으로 생각할 수도 있구나, 살아온 시대적 상황에서 저런 영향을 받을 수도 있겠다고 하고 이해하면 된다. 타인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건 그 주장이 다 맞다고 받아들인다는 말이 아니라, 저렇게 생각하고 느낄 수 있다고 하고 타인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그래야 대화와 논의를 시작할 수 있으니까. 자신의 억지 주장을 받아들이길 강요하지 말 일이며 상대방이 틀렸다며 내 의견에 굴복시키지 말 일이다. 나만 맞다고 강요하는 것, 명절 사단의 지름길이다.

추석은 함께 즐기기 위한 시간이다. 누군가의 즐거움을 위해, 혹시 또 다른 누군가는 상처받고 희생하지는 않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추석 명절 분위기를 확실히 망치고자 한다면 위의 대화 기술을 활용하면 된다.

그러나 그것이 아니라면 자신의 입에서 말이 나오려는 순간, 한 호흡 멈추고 상대방 말을 좀 더 잘 듣고 난 후 한 번 더 생각해 말을 꺼내야 한다. 나오는 대로 함부로 말해 나만 즐겁고자 한다면 다음 명절 자리가 또 있으리라는 보장이 있을까?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