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휴지조각된 2조2724억원…낡고 병든 돈 3억5000만장 폐기

중앙일보

입력

설을 앞두고 신권 교환 수요에 맞추기 위해 시중은행 창구에 쌓여 있는 신권 [중앙포토]

설을 앞두고 신권 교환 수요에 맞추기 위해 시중은행 창구에 쌓여 있는 신권 [중앙포토]

 올 상반기 2조2724억원의 돈이 휴지조각이 됐다. 찢어지거나 불에 타는 등 낡고 병들어 더는 쓸 수 없어 폐기된 것이다.

상반기 손상화폐 폐기 13.2% 늘어 #1만원권이 폐기된 지폐 53.7% 차지 #새 화폐 대체시 483억원 비용 소요 #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에 따르면 올 상반기 3억5000만장(2조2724억원)의 손상화폐가 폐기됐다. 지난해 하반기(2조2399억원)보다 13.2% 늘어났다.

 최근 3년간 손상화폐 폐기 규모는 꾸준히 늘고 있다. 2016년 3조1142억원에서 지난해 4조2613억원까지 늘어났다. 한국은행은 “손상된 화폐를 모두 새 화폐로 대체할 때 483억원의 비용이 든다”고 밝혔다.

 수명을 다하고 휴지조각이 된 손상화폐의 대부분은 지폐(은행권)다. 2조2712억원(3억3000만장)에 달한다. 권종별로는 1만원권(1억8000만장)이 사망 선고를 받은 지폐의 53.7%를 차지했다. 1000원권(1억3000만장)이 39.3%, 5000원권(2000만장)이 5.4%, 5만원권(1000만장)이 1.6%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폐기된 동전(주화)는 1340만개다. 가장 많은 것은 10원짜리(600만개)로 전체의 44.9%를 차지했다. 100원짜리(470만개) 동전이 35.3%로 그 뒤를 이었다.

 사람들의 손을 타며 망가진 돈도 상태에 따라 한국은행에서 멀쩡한 돈으로 바꿀 수 있다. 올 상반기 일반 국민이 한국은행에서 교환한 손상화폐는 36억2000만원으로 지난해 하반기(30억5000만원)보다 18.9% 늘어났다.

 새 돈을 바꾼 손상화폐는 지폐보다는 동전이 많았다. 주화 교환액은 23억3000만원이었다. 은행권 교환액은 12억9000만원(2668건)이었다. 손상을 이유로 바꿔간 지폐는 5만원권(10억4000만원)이 전체 교환액의 80.1%를 차지했다.

관리 부주의 등으로 손상된 화폐의 모습. [사진 한국은행]

관리 부주의 등으로 손상된 화폐의 모습. [사진 한국은행]

 화폐가 손상된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은 장판 밑 눌림과 습기에 의한 부패 등 부적절한 보관이었다. 건수로는 1054건으로 전체 교환액의 39.5%에 해당됐다. 불에 탄 경우(21.4%)와 세탁 또는 세단기 투입 등 취급상 부주의(39.1%)도 돈을 망가뜨린 주요한 이유였다.

 손상 화폐를 멀쩡한 돈으로 바꾸더라도 액면가만큼 다 돌려받지는 못했다. 올 상반기 한은에 교환을 의뢰한 손상은행권의 액면가는 14억2000만원이었지만 실제 돌려받은 금액은 12억9000만원으로 액면금액의 91.3% 수준이었다. 화폐의 상태에 따라 액면가의 절반만 인정되거나 무효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화재 등으로 은행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훼손돼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원래 크기와 비교해 남아있는 면적이 3/4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을, 3/4 미만 ~2/5 이상이면 액면 금액의 절반만 인정해 새 돈으로 바꿔주고 있다.

 특히 불에 탄 지폐의 경우 재가 지폐에서 떨어지지 않고 지폐의 원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면 재 부분까지 지폐 면적으로 인정하는 만큼 불에 탄 상태로 원래 모양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상자나 용기 등에 담아 운반해야 한다.

 금고나 지갑 등 보관 용기에 든 상태로 은행권이 불에 탔을 때는 보관 용기 상태로 운반하는 게 좋다. 손상 화폐는 한국은행 본부 및 전국 지역 본부에서 교환할 수 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