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규제 역풍? 오히려 지지율 2%P 떨어진 아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연합뉴스]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내각의 지지율이 2%포인트 하락했다.

6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4~5일 18세 이상 유권자 1579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설문조사 결과 아베 내각의 지지율은 51%를 기록했다.

이는 닷새(설문 실시 마지막 날 기준) 전인 지난달 28~30일 실시한 직전 조사 때의 53%보다 2%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아베 정권은 지난 1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기판 제작에 쓰이는 소재 3개 품목을 자국 기업이 한국에 수출할 때 절차를 까다롭게 하는 규제책을 발표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였다.

이런 규제책은 4일 시행됐지만, 일본 언론들은 자국 기업들에도 피해가 갈 수 있고 자유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기존 방침에 역행한다며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 시점은 보복 조치가 나온 직후라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다만 지지율 하락은 보복 조치를 참의원 선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던 아베 정권과 여당 자민당의 노림수가 일단 먹혀들지 않았음을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여당 자민당은 당내에 지침을 내리면서까지 보복 조치를 선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 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의 5일 보도에 따르면 자민당은 21일 투개표가 실시되는 참의원 선거의 후보자나 관계자들에게 연설하거나 유권자들을 만날 때 수출규제 강화를 언급하라는 지침을 내놨다.

자민당은 이번 선거에서 개헌을 이슈화한 뒤 압승을 거둬 이를 토대로 개헌을 달성하며 일본을 전쟁가능 국가로 변신시키려는 야욕을 갖고 있다.

하지만 설문을 보면 ‘개헌’은 유권자들이 꼽은 이번 선거의 쟁점 우선순위에서 5번째로 밀렸다.

‘연금 등 사회보장’을 꼽은 사람이 37%로 가장 많은 가운데 ‘경기와 고용’(19%), ‘육아 지원’(13%), ‘외교와 안전보장’(12%)이 뒤를 이었고, ‘헌법 개정’이라는 응답은 7%에 그쳤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